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기타

국내 보험계약 2년 유지율 69%에 그쳐, 해외 주요국보다 20%p 이상 낮아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 2025-04-22 16:57:4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보험계약의 30%가 2년 안에 해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2일 공개한 ‘2024년 보험회사 판매채널 영업효율 및 감독방향’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보험계약 1년 유지율은 87.5%로 집계됐다.
 
국내 보험계약 2년 유지율 69%에 그쳐, 해외 주요국보다 20%p 이상 낮아
▲ 2024년 기준 국내 보험계약 2년 유지율이 69.2%로 나타났다고 금감원이 집계했다.

2년 기준 유지율은 69.2%로 나머지 30%는 해지됐다. 

싱가포르(96.5%) 일본(90.9%) 대만(90.0%) 미국(89.4%) 등 해외 주요국가와 비교하면 2년 기준 유지율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수수료 선지급 기간이 끝나는 3년 유지율은 50%, 5년 유지율은 46.3%에 불과하다.

보험계약 유지율은 과거 체결된 계약 가운데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계약의 보험료 비율을 말한다.

영업채널별로 보면 보험사 전속채널을 통한 보험계약 초기 1년 유지율은 87.7%, 법인모집대리점(GA) 채널 유지율은 88.3%로 파악됐다.

방카, 홈쇼핑, 온라인(CM) 전화(TM) 등 다른 채널보다 높았다. 다만 보험사 전속과 GA채널도 3년 이후 유지율은 각각 57.0%, 58.4%로 50%대로 내려갔다.

지난해 보험계약 불완전판매비율은 0.025%로 나타났다. 2022년(0.039%) 2023년(0.033%)과 비교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불완전판매비율은 품질보증 해지, 민원 해지 및 무효 건수를 더한 수치를 신계약 건수로 나눈 것이다.

금감원은 “2024년 국내 보험계약 불완전판매비율 및 설계사 정착률이 개선되는 등 판매채널 효율성이 좋아졌지만 여전히 계약 유지율이 낮은 수준”이라며 “수수료 개편 등을 통해 장기 유지율 제고를 유도하고 규제가 완화되는 방카채널에 관한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최신기사

편의점 4사 '갑질' 자진시정, 미납패널티 부과율 대형마트 수준으로 인하
330만 이상 개인정보 타사 넘겼던 메타 결국 정보 삭제키로, SK '에이닷' 통화요약..
현대제철 1분기 영업손실 190억 '적자전환', "시황 악화, 파업 영향"
현대차 1분기 매출 44.4조 '역대 최대', 관세 부과 전 미국 판매 1.1% 소폭 ..
LG전자 1분기 매출 22.7조 '역대 최대, 영업익 1.26조로 5.7% 감소
유한양행 자회사 이뮨온시아 IPO 시동, 김흥태 "국내 최초 면역항암제 출시"
이재명 기후공약 발표, "RE100 산단·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HD한국조선해양 1분기 영업익 8600억 436% 증가, HD현대중 영업익 1793% 증가
'머스크 복귀' 테슬라에 서학개미와 국내 증권가 환호, 월가 "수익 회복 어려워"
개인정보위 딥시크 실태점검 결과 발표, "개인정보·입력어 무단 해외 이전"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