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현재 기조대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국내 증권사에서 나왔다. 관세정책에 따른 경기충격과 인플레이션을 미국도 체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5일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 정부보다 높은 관세율을 적용할 것이나 앞으로 관세압력이 고조되지는 않을 것”이며 “관세율 인하 또는 상호관세 유예 확대 가능성이 오히려 높다”고 내다봤다.
▲ 메리츠증권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모멘텀이 고조되기보다는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이 연구원은 이와 같은 예측의 근거로 △교역 상대국이 보복하지 않을 경우 4월2일 발표한 상호관세가 가장 높은 수준인 점 △채권·외환시장 충격에 사실상 굴복해 90일 동안 관세를 유예한 점 △품목별 관세가 공개된 이후 추가 관세 부과대상이 없는 점 등을 들었다.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불확실성도 이른 시일 안에 완화할 것으로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반도체, 의약품, 구리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가 이미 공개된 이후로는 추가적 관세 부과대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몇 주 안에 관세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반도체는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그는 “무역 상대국 중 미국 투자확대를 언급한 곳은 대만 정도”라며 “막대한 자원이 투입되는 기업의 투자 프로젝트에는 정부정책의 연속성과 신뢰성이 담보돼야 하지만 트럼프 정책은 이와 정반대로 가고 있고 의도와 다르게 금융시장 충격도 매우 크다”고 평가했다.
관세정책 장기화에 따른 경기충격과 인플레이션 우려도 던졌다.
이 연구원은 “휴대폰과 컴퓨터, 반도체를 상호관세 대상에서 일단 제외했고 자동차와 부품에 대해 일시 관세유예를 검토한다는 것은 트럼프가 인플레이션을 의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런 식의 관세정책은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026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는 경기와 인플레이션을 더욱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수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