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왼쪽)이 3월24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보호관세가 오히려 해외 기업의 대미 투자 여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미국에 투자를 발표한 기업도 관세 부과로 공급망 취약성이 커지면 기존 투자 계획을 ‘재탕’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시각도 제시됐다.
8일 파이낸셜타임스는 다트머스대학 경영대학원의 테레사 포트 경영학 부교수 발언을 인용해 “관세로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면 투자지로서 미국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중국에 54%를 비롯해 세계 다수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책정했다.
이에 관세 대상국인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자국 기업에게 미국 투자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또한 관세가 일본 기업의 투자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트럼프 정부는 해외 기업이 자국에 생산 설비를 짓도록 만든다는 목표 아래 이른바 ‘관세 전쟁’을 시작했는데 오히려 역효과만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씽크탱크 카토연구소의 스콧 린시컴 부소장은 “기업은 관세로 수익 감소와 생산비용 증대를 겪는다”며 “투자 의욕이 꺾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 들어 미국이 유치한 기업투자 1조9천억 달러(약 2800조 원)에도 불투명성이 커지고 있다.
애플과 대만 TSMC 등은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한 뒤 미국에 각각 5천억 달러와 1천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와 일본 소프트뱅크도 210억 달러와 1천억 달러를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세계 각국에 공급망을 둬 트럼프 관세에 취약한 만큼 애초 발표한 규모만큼 투자를 집행할지 의문시되고 있다는 의미다.
더구나 기업 재무 계획은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수립돼 트럼프 정부에서 발표된 투자도 이전부터 정해진 내용일 수 있다는 점도 거론됐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기업이 약속한 투자 가운데 얼마가 새로 추진된 건지 판단이 어렵다”며 “새로 취임한 트럼프 정부가 이룬 결과라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