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민의힘 안팎의 움직임을 종합하면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에도 단절이나 쇄신보다 기존 흐름을 유지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국민의힘은 전날인 6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었다. 의원총회에선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당 수습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의원총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현재 지도부가 앞으로 남은 대선 일정을 수행해달라는 의미에서 박수로 현 지도부를 재신임 추대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 제명 조치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다"며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에 대해선 일부 의원들 이야기가 있었지만 그런 이야기가 주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박 전 대통령은 탄핵 후 '탈당 권유' 징계를 거쳐 결국 제명됐다.
박 전 대통령이 탄핵을 당한 이후 당 내부에선 탈당 요구가 공식적으로 제기됐다. 박 전 대통령의 구속 만기일(2017년 10월16일)이 오기도 전인 2017년 9월13일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는 지도부에 박 전 대통령에게 '탈당 권유'를 하라고 권고했다. 이후 '탈당 권유' 징계를 거쳐 같은 해 11월3일 제명됐다.
반면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과 계속 동행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당 지도부와 의원들이 전체적으로 윤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결집한 강성 보수층에 끌려다니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박원석 전 정의당 의원은 5일 MBC라디오 '권순표의 뉴스하이킥'에서 "자유한국당은 탄핵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을 출당시켰다"며 "근데 그것을 지금 할 수 있느냐. 국민의힘은 지금 강성 지지층들 눈치를 보지 않나"라고 말했다.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거리두기 나섰던 인사들의 처지도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은 박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를 선택했다. 반면 홍준표 당시 경남지사는 거리두기 대신 '옹호'를 선택했다. 이후 홍 지사의 당내 입지는 오히려 강화됐고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자리까지 올랐다.
▲ 윤석열 대통령이 2월25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11차 변론에서 최종 의견 진술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의 이 같은 태도는 당장 대선에, 그리고 대선 이후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먼저 조기대선 국면에서 중도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대선 후보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4일 YTN라디오 '신율의 뉴스 정면승부'에서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 등 어떤 형태라도 개입할 경우) 우리가 중도를 지향하고 있는 분들을 흡수하는 데 커다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본인 스스로 엄청나게 억울하고 분통이 터지더라도 보수 재건을 위해, 보수 정당 승리를 위해 인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윤심'이 주요 변수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파면 이후에도 '윤석열 어게인'이라는 구호가 강성 지지층 사이에서 퍼지고 있다. 따라서 당내 경선에서 '비윤' 혹은 '반윤' 후보 솎아내기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
실제 윤 전 대통령은 파면 뒤 국민의힘 지도부와 만나 '대선 승리'를 당부하기도 했다.
대선 이후에도 중도층과 벌어진 거리를 좁히면 못하면 국민의힘은 지역 기반 정당으로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자칫 '영남 자민련'으로 위축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총선은 멀었지만 내년에는 지방선거가 있다. 대구·경북 지역은 수성에 성공할 수 있지만 부산·경남 지역은 바닥 민심이 흔들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국민의힘이 4·2 재보선에서 패한 것을 두고 "아직도 배신자 쫓아내고 우리끼리 똘똘 뭉치면 영남 자민련으로 쪼그라들어도 괜찮다고 생각하시나"라며 "불행하게도 거제와 부산 선거 결과를 보니 앞으론 그것조차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