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 전면 재개에 따른 국내 증시 변동성 대응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1일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공매도는 가격 발견 기능과 유동성을 높여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면서도 “다만 공매도 급증 종목에 관해서는 유관기관과 협의해 불법 공매도를 철저히 점검하는 등 시장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 재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등에 따른 시장 변동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
공매도는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을 빌려서 매도한 뒤 나중에 같은 증권을 사서 갚는 투자기법이다.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공매도를 통해 주식을 팔고 실제 가격 하락 뒤 싼 값에 주식을 사서 갚으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국내 증시에서 3월31일 공매도가 재개된 첫날부터 과열 종목이 속출하면서 한국거래소는 1일 코스피 상장사 가운데 14개 종목, 코스닥 상장사 29개 종목에 관한 공매도 거래를 하루 동안 금지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에 관한 대응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트럼프 관세정책 발표 뒤 각국의 협상, 대응 상황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며 “국내 경제, 산업별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관계기관과 공조를 강화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한편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의 반작용으로 글로벌 자금이 유럽, 중국 등 적극적 경비부양을 하는 국가로 이동하는 움직임도 관찰된다”며 “한국도 자본시장 선진화를 통해 글로벌 투자자금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1분기 가계부채는 목표에 맞게 안정적으로 관리했다고 평가했다.
이 원장은 “3월 가계대출은 신학기 이사수요 해소 등으로 증가폭이 감소하면서 안정적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최근 3월 후반부터 서울·수도권 집값 급등 영향이 반영되고 있는 만큼 지역별 대출 신청과 승인, 취급 등을 더욱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