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희헌 기자 gypsies87@businesspost.co.kr2025-01-13 15:03:41
확대축소
공유하기
<편집자 주>
국내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과감한 세대교체에 방점을 찍은 연말인사를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젊은 나이의 오너일가 인물이 다수 승진하거나 역할을 강화하며 능력을 증명할 시험대에 올랐다. 글로벌 경제 저성장과 정치적 불안, 산업 정책 변화로 기업 경영이 쉽지 않은 환경을 맞았으나 이들에게는 후계자로 경험을 쌓고 성과를 거둘 기회이기도 하다.
한국 기업을 바라보는 사회의 눈높이가 이전과 달라진 만큼 오너일가라는 이유로 당연히 경영을 승계하는 시대는 끝을 맺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확실한 역량을 보여주고 전문경영인과 차별화된 ‘준비된 후계자’라는 점을 확실히 보여줘야만 한다. 비즈니스포스트는 국내 주요 기업의 차세대 오너일가 경영자가 2025년에 맞이한 과제와 역할을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부전자전’ 롯데그룹 신유열, ‘글로벌’과 ‘신사업’으로 3세시대 연다
②KG그룹 2세 곽정현, KGM서 경영능력 증명 기회 노려
③‘합격점’ 받은 셀트리온 2세 서진석, 신약개발로 후계자 입지 더 넓힌다
④GS건설 허윤홍, 오너경영 안정화 새 판 짜는 건설업계 불황 터널 뚫는다
⑤SK네트웍스 최성환, AI 컴퍼니 탈바꿈으로 ‘제2의 도약’ 노린다
⑥초고속 승진하는 오리온 담서원, 10여년 만의 오너경영체제 복귀 시동 건다
⑦한화생명 경영수업 10년, 오너3세 김동원 해외사업 성과 입증 총력
⑧경영 전면 나서는 호반그룹 김대헌, 성장 동력 확보 추진으로 신사업 행보 강화
⑨‘사촌경영’ LS그룹 3세대 부상, 2030년 ‘3세 시대’ 첫 회장 레이스 스타트
▲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겸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사진)이 경영 전면에 나서기 위한 경영수업을 빠르게 밟고 있지만 롯데그룹의 현주소를 살펴볼 때 성과를 내기 쉽지 않은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이 그룹 후계자로 인정받기 위한 길은 결코 순탄해 보이지 않는다.
롯데그룹은 롯데케미칼의 실적 악화에 따른 유동성 위기로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이제 막 승계수업에 속도를 내기 시작한 신 실장이 역량을 발휘하기 쉽지 않은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신 실장은 주력 사업의 체질 개선보다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글로벌과 신사업을 발판으로 삼아 경영능력을 입증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성과를 바탕으로 경영승계의 명분을 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롯데그룹 안팎의 얘기를 들어보면 신유열 미래성장실장의 승진 속도가 다른 대기업과 비교해 매우 빠르다는 데 이견이 없다.
신 실장이 롯데그룹에 처음 모습을 보인 것은 2020년 상반기. 당시 한·일 롯데그룹의 모태로 여겨지는 일본 롯데에 부장 직급으로 입사했다. 2022년 5월에는 임원으로 승진하며 롯데케미칼 일본 동경지사에서 신사업을 담당했다.
한국 롯데그룹에 모습을 비추기 시작한 시기는 2022년 9월부터다. 당시 신동빈 회장의 동남아시아 출장에 동행하면서 한국 언론에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롯데파이낸셜 대표이사 등에 선임되면서 경영 전면에 나서는 분위기가 조성됐고 롯데그룹 안에서는 2023년 말 전무, 2024년 말 부사장으로 초고속 승진했다.
부장으로 입사해 4년여 만에 부사장이 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속도라고 할 수 있다. 한화그룹과 HD현대그룹 등에서 30~40대 후계자가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신 실장보다 빠르게 승진가도를 달린 인물을 찾기 힘들다.
신동빈 회장의 나이가 적지 않은 만큼 경영수업에 속도를 높여 롯데그룹의 경영권 승계를 준비하고 있다는 시각이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다.
신 실장의 부족한 경험도 빠른 승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른 재벌그룹 오너일가가 국내사업을 최소 5년 이상 경험한 뒤 경영 전면에 나서는 것과 비교하면 신 실장의 롯데그룹 실무 경험은 매우 부족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신동빈 회장이 그룹 전반의 사업을 좀 더 빠르게 포괄적으로 익혀 궁극적으로 롯데그룹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안목을 갖추라는 판단 아래 신 실장의 경영수업을 재촉하고 있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신 실장 역시 대내외 행보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2025에 참석해 롯데그룹뿐 아니라 국내외 기업의 부스를 둘러봤다. 신 실장은 3년 연속으로 CES를 찾으며 롯데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룹 사장단이 모이는 회의 'VCM'에도 꾸준히 참석하고 있다. VCM은 신동빈 회장이 롯데지주 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사업군 수장과 계열사 사장을 모아 그룹의 미래를 논하는 자리로 옛 사장단 회의의 성격을 지닌다.
신 실장은 CES를 참관하고 난 직후 귀국한 당일 열린 VCM에 참석했는데 쉴 틈 없이 움직였다는 점에서 그룹 후계자의 무게감을 보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물론 신 실장의 앞길은 녹록치 않다.
무엇보다도 롯데그룹이 안팎으로 흔들리고 있어 신 실장의 역량이 겉으로 드러나기 쉽지 않은 구조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롯데그룹은 롯데케미칼의 3년 연속 영업손실 탓에 재무구조가 취약해졌다. 지난해 말 롯데그룹을 곤혹스럽게 했던 유동성 위기설도 롯데케미칼의 실적 부진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신 회장이 그룹의 상징과도 같은 롯데월드타워를 은행권에 담보로 제공했다는 사실은 롯데그룹이 얼마나 어려운 시기를 걷고 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다.
신 실장이 신 회장처럼 인수합병에 힘을 싣기도 사실상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그룹에 돈이 있어야 투자에 나설 수 있는데 현재 롯데그룹은 오히려 비주력 자산을 매각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결국 신 실장이 성과를 낼 곳은 그가 담당하고 있는 롯데지주 미래성장실과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이 될 수밖에 없다.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은 신 실장이 전무로 승진하던 2023년 12월 신설된 조직이다. 롯데그룹이 추진하는 신사업 관리뿐 아니라 또다른 성장 엔진을 발굴하는 임무를 맡는 조직이라고 롯데지주는 설명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도 미래성장실과 결이 비슷한 조직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2030년까지 글로벌 톱10 바이오 위탁개발생산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글로벌전략실의 역할이다.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은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의 경영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롯데그룹의 주요 참모진을 미래성장실에 배치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