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부지침이 구체화함에 따라 원료와 중간소재, 최종 제품에 이르는 포스코퓨처엠의 소재 가치사슬(밸류체인) 공급망 역량이 부각되고 있다.
다만 새로 추가된 해외우려집단(FEOC) 조항을 회피하려면 중국기업과 합작한 법인의 자체 지분율을 늘려야 하는 만큼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사장은 이를 위한 재원 마련에 경영역량을 집중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사장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해외우려단체 조항을 회피하기 위해 재원 마련에 이전보다 경영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5일 배터리업계와 증권업계 말을 종합하면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의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배제되는 해외우려집단 관련 규정을 명확히 함으로써 국내 2차전지 셀·소재 업체들은 사업 불확실성을 덜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재무부와 에너지부가 현지시각 1일 제시한 해외우려집단 관련 잠정안은 해외우려국가에서 설립되거나 소재해 있는 사업장과 해외우려국가 정부가 소유·통제·지시하는 해외기관을 해외우려집단으로 정의하고 있다.
해외우려국가에는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이 들어간다. 해외우려국가 정부에는 중앙·지방정부, 중앙·지방정부의 기관·기구, 지배·집권 정당과 전현직 고위 정치인 등이 포함된다.
해외우려집단에 중국 관련 기업이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 애초 많았던 만큼 배터리업계가 가장 주목했던 지점은 세부 기준이었다. 이번에 제시된 잠정안에서는 우려국 정부나 기업 관련 지분율이 25% 이상인 기업을 해외우려집단으로 규정했다.
여기서 해외우려집단에 해당하는 모기업이 자회사 이사회 의석과 의결권 혹은 지분율 50% 이상을 직접 보유한 사례에는 자회사를 모기업과 동일시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우려국 정부가 25% 지분율을 확보한 모기업(A)이 자회사(B) 지분율 50%를 쥐고 있다고 가정하면 자회사(B) 역시 해외우려집단으로 보겠다는 것이다.
다만 같은 상황에서 모기업(A)의 자회사(B) 지분율이 40%라면 자회사(B)에는 우려국 정부 지분율이 비례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규정됐다.
다시 말해 자회사(B)의 우려국 정부 지분율은 25%에 40%를 곱한 10%로 25%에 못 미치기 때문에 해외우려집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중국기업과 배터리 원료 공급망과 관련한 합작사를 꾸리려는 국내 배터리 관련 기업들에게 숨통이 트일 수 있는 대목으로 꼽힌다.
해외우려집단에 관한 세부 규정은 배터리 부품 분야는 내년 1월1일부터, 핵심광물 분야는 2025년 1월1일부터 적용된다.
국내 2차전지 셀·소재 업체들은 그동안 명시되지 않은 해외우려집단 규정 탓에 섣불리 공급망 확보를 위한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형편에 놓여 있었다. 2차전지 가치사슬의 앞 단계로 갈수록 중국기업들의 시장 입지가 강한 만큼 일정 부분 중국기업과 협력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 규정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국기업과 협력하는 데 따른 불확실성이 클 수밖에 없다.
국내 업체들로서는 공급망 확보가 향후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 상황에서 규정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중국기업들과 협력을 추진하며 공급망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미국 정부가 중국기업의 2차전지 공급망 진출을 전면 차단하지는 않으면서도 큰 틀에서는 탈중국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국내 2차전지 셀·소재사들에게는 긍정적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자본의 지분율을 25% 미만으로 제한하는 해외우려집단 요건은 비교적 까다롭다고도 볼 수 있는데 글로벌 2차전지 가치사슬에서 중국기업을 대체할 수 가장 유력한 회사들은 대부분 한국기업이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가장 서둘러 탈중국 공급망 확보를 추진해 2차전지 소재 가치사슬의 상당 부분에 내재화 역량을 갖췄다는 점에서 공급망 역량이 부각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진행하는 리튬, 니켈 등 광물 원료의 확보에서부터 양극재 중간소재인 전구체와 최종 제품인 양극재에 이르기까지 수직계열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게다가 음극재 분야로도 사업영역을 확장하며 국내에서 유일한 음극재 양산기업으로 시장 입지를 구축해 놓기도 했다.
음극재 핵심 원료로 꼽히는 천연흑연은 중국기업의 점유율이 높은 원료인데 포스코퓨처엠은 공급선을 다변화하기 위해 탄자니아와 마다가스카르 등에서 천연흑연을 확보하는 계획을 마련해 놓았다.
포스코퓨처엠은 인조흑연을 적용한 음극재공장의 조기 가동을 추진하며 음극재 공급망의 탈중국화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인조흑연 음극재는 포스코퓨처엠이 가치사슬 대부분에서 중국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인플레이션감축법의 보조금 혜택을 받으려는 전기차 제조사나 배터리 셀 제조사들로서도 중국기업 의존도를 낮춰 공급망을 확보하는 대안으로서 포스코퓨처엠을 유력하게 검토할 유인이 많아졌다 할 수 있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달 충남 공주 피앤오케미칼(포스코퓨처엠과 OCI의 합작법인) 피치(음극재 코팅제로 쓰이는 원료)공장 준공식에서 “안정적 원료 공급망과 독보적 기술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해 국내 배터리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