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대리점주의 죽음을 계기로 한진과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택배사가 안을 부담도 무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한진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가뜩이나 비용문제로 사회적 합의를 이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택배산업 구조 개선에서 택배사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는 점점 커지고 있다.
▲ 서울 시내의 한 택배물류센터. <연합뉴스> |
6일 택배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 대리점주가 최근 극단적 선택을 한 일을 놓고 CJ대한통운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보는 시각이 나온다.
이동학 더불어민주당 청년 최고위원은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택배 본사와 택배노조 사이 갈등을 점주가 짊어졌다”며 “점주 죽음에는 노조의 사회적 책임만큼이나 원청인 CJ대한통운 본사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간접고용문제를 둔 본사와 노조 사이 갈등도 대리점주의 죽음에 영향을 줬다고 본 것이다.
대리점주는 노조와 갈등을 빚다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알려지는데 그 이면에는 택배사에게 대부분의 권한이 몰려 있는 기형적 택배산업 구조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CJ대한통운 같은 택배사는 다수의 대리점과 위탁계약을 맺는다. 각 대리점은 택배기사들과 별도의 계약을 맺고 택배운송업무를 위탁한다.
이 과정에서 대리점과 택배기사는 택배사가 정해주는 배송 수수료를 놓고 파이 싸움을 벌이는데 파이 크기가 워낙 작아 결국 대리점이든 택배기사든 누군가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CJ대한통운 대리점주의 죽음과 관련해 택배사의 책임론이 부각되는 점은 한진과 롯데글로벌로지스에게도 부담일 수밖에 없다.
자칫 기형적 택배산업 구조에서 혜택만 누리면서 책임은 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택배업계 노사와 정부가 6월 마련한 택배기사의 과로사를 막기 위한 2차 합의문에 따르면 CJ대한통운과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는 9월1일부터 택배 분류작업을 위한 전담 인력을 순차적으로 투입해야 하는데 택배사 3곳 모두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사회적 합의 이행시점을 13일로 잡고 아직 분류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사회적 합의 이행을 위해 택배비를 올렸는데도 여전히 분류작업을 위한 전담인력이 제대로 투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택배기사들이 의견을 공유하는 네이버의 한 카페를 들여다보면 한진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일단 지점별로 투입되는 인력이 4명당 1명, 8명당 1명꼴로 다르고 당분간 인력 투입이나 분류비를 지급하지 않겠다고 말한 곳도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럼에도 택배사들은 사회적 합의 이행 의지는 꺾지 않고 있는데 한진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CJ대한통운과 비교해 부담이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아직 택배 자동분류기를 도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진은 올해 안에 택배상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설비인 휠소터를 서브터미널 55곳에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는데 여기에만 561억 원가량이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한진은 유휴 부지 등 부동산을 매각해서라도 모든 터미널에 택배 자동분류기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택배 자동분류기 도입에 1천억 원, 연간 인건비로 600억 원가량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정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