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우주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이사 시절 입버릇처럼 했던 말이다.
▲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이 2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소감을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
그런 만큼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내심 기대를 품을 수밖에 없다.
29일 한국항공우주산업에 따르면 대표이사가 '영전'한 것은 2001년 건설교통부 장관으로 자리를 옮긴 임인택 초대 사장 이후 18년 만에 처음이다.
김 수석의 청와대 입성은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위상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된다.
방산산업은 대표적 정부 대 정부(G2G)사업으로 무엇보다 정부의 의지가 중요한 사업이다.
전임 사장이 대통령을 측근에서 보좌하는 민정수석에 올랐다는 사실은 해외사업 상대방에게 신뢰를 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이 2년 전만 해도 방산비리와 분식회계 의혹으로 전임 사장이 구속되는 어려움을 겪은 점을 고려하면 그 효과는 더욱 클 수 있다.
김 수석이 청와대에서 항공우주산업에 힘을 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수석은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 시절 국내 항공과 우주산업을 2030년까지 20조 원 규모로 확대해 국가 대표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기동헬기 수리온 구입 확대 등 무엇보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는데 그가 직접 정부 요직인 민정수석으로 청와대에 들어가게 됐다.
민정수석은 대통령 옆에서 공직기강, 반부패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자리로 김 수석이 특정산업 육성을 직접 이끌 수는 없다.
하지만 수석보좌관회의 등에서 평소 의견을 말하는 방식으로 항공우주산업을 후방에서 지원할 가능성은 충분해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당시 ‘받아쓰기’ ‘계급장’ ‘사전 결론’ 없는 수석보좌관회의를 지침으로 삼았고 여전히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참모들의 활발한 토론을 독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수석은 수석보좌관회의에 고정 멤버로 참여한다. 수석보좌관회의에 항공우주산업 관련 안건, 의료헬기 안건 등이 올라온다면 김 수석이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 경험을 바탕으로 평소 의견을 개진할 여건은 마련돼 있는 셈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국내 항공과 우주산업을 이끄는 대표업체인 만큼 정부가 항공과 우주산업 지원을 강화하면 직접적 수혜를 입을 수 있다.
항공우주업계 한 관계자는 “
김조원 수석이 항공우주산업 발전 방안을 직접 챙길 순 없겠지만 후방에서 힘을 실어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