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광주형 일자리’로 대표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사업을 추진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의 치열한 유치전이 예상된다.
1일 지자체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가 상반기에 2~3곳 규모로 선정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놓고 여러 지자체들이 유치경쟁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2월28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린 상생형 지역일자리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
정부가 상생형 지역 일자리의 확산을 주요 정책목표로 확정해 국비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의지를 보이면서 지자체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는 기업이 지역 노동자에게 업계 평균보다 낮은 임금을 주는 조건으로 일자리를 만들어내면 정부와 지자체가 주거와 세제 등을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광주형 일자리’를 적용한 합작법인 설립에 합의하면서 첫선을 보였다.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충북형 일자리 발굴 태스크포스팀’을 꾸려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충청북도에 적용할 아이디어를 찾고 있다.
한범덕 청주시장도 최근 “
문재인 대통령이 상생형 지역 일자리의 확산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청주에서도 도입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충청북도 청주에 SK하이닉스와 LG화학 공장이 있는 점을 고려해 관련 산업에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접목하는 방안이 추진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전남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사업을 찾아내 새로운 미래 전략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철강, 석유화학, 조선 등의 주력 제조업에 더해 서비스산업과 관광산업 발전을 추진하겠다는 밑그림도 제시했다.
부산시와 인천시도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도입하는 방안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라북도 군산과 경상북도 구미가 그동안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도입할 가장 유력한 지역으로 꼽혀왔는데 경쟁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상생형 지역 일자리의 접근법 자체를 군산 같은 산업·고용위기지역에 한정해 볼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군산과 구미에 상생형 지역 일자리가 1차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여전히 만만찮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공식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지엠의 폐쇄된 군산 공장과 가동이 중단된 현대중공업 군산 조선소를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구미시는 ‘구미시 지역상생 일자리협의회’를 통해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을 구체화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1분기 안에 국가균형발전법을 개정해 상생형 지역 일자리의 모델 선정과 지원에 필요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