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퓨리오사AI 메타의 인수 제안 거절, 독자 신경망처리장치 개발하기로

김호현 기자 hsmyk@businesspost.co.kr 2025-03-24 14:35:5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의 팹리스(설계 전문)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가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퓨리오사AI는 사내 공지를 통해 메타와 인수협상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퓨리오사AI 메타의 인수 제안 거절, 독자 신경망처리장치 개발하기로
▲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기업 퓨리오사AI가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퓨리오사AI>

퓨리오사AI는 신경망처리장치(NPU) 설계로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NPU는 기존 엔비디아나 AMD가 제작하는 AI 반도체와 비교해 비용이 싸고 전력 효율이 높다. 퓨리오사AI의 NPU로는 워보이와 레니게이드가 있다.

레니게이드는 SK하이닉스의 4세대 고대역폭메모리 HBM3를 탑재했으며, TSMC의 5나노 공정을 활용해 제작됐다.

레니게이드 NPU는 엔비디아의 추론용 AI 반도체인 ‘L40S’와 비슷한 성능을 가졌지만, 전력 소모가 L40S보다 배 이상 효율적이다.

메타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고자 자체 대규모언어모델(LLM)에 최적화된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는데, 퓨리오사AI의 NPU 기술력을 활용하고자 인수 협상에 나섰다.

퓨리오사AI의 기업 가치는 8천억 원가량으로 추정된다. 메타는 8억 달러(약 1조2천억 원)을 인수 협상 가격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퓨리오사AI가 메타의 인수 제안을 거절하면서 독자 NPU 개발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퓨리오사AI의 레이게이드가 업계의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추가 투자 유치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호현 기자

최신기사

삼성전자 '갤럭시탭S10 FE 시리즈' 출시, 얇아진 두께와 슬림해진 디자인
SK하이닉스 HBM4 상용화에 청신호, 대만 협력사 TSMC 3나노로 양산 준비
상상인증권 "아모레퍼시픽 서구권 및 일본 고성장세, 코스알엑스 아픈 손가락"
KB증권 "HD현대중공업 3년치 수주잔고 확보, 안정적 실적 성장 전망"
한화투자 "한국항공우주산업 목표주가 상향, 2026년 대형 수주 가능성"
공정위 애플 표시광고법 위반 조사착수, 서울YMCA "애플 AI는 껍데기"
'모습 드러낸 관세' 뉴욕증시 M7 혼조세, 테슬라 5%대 상승
상상인증권 "아모레G 에스쁘아·아모스 맑음, 이니스프리·에뛰드 흐림"
신영증권 "삼성바이오로직스 잘 나가는 이유 있네, 미국 관세 영향도 빗겨가고"
신한투자 "LG화학 1분기 시장기대치 웃돌 듯, 중국발 호재로 영업흑자 전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