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이 자본 확충과 중금리대출 강화로 신발끈을 고쳐 매고 있다.
10일 케이뱅크는 1200억 원가량의 유상증자를 결정해 자본 확충의 기반을 마련했다. 국내 사모펀드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도 케이뱅크의 주요 주주로 참여한다.
IMM프라이빗에쿼티는 누적 운용자산이 3조3천억 원에 이르는 국내 대표 사모펀드 가운데 하나로 우리은행 지분을 6% 보유하고 있는 등 금융업 투자 경험이 풍부한 투자자로 꼽힌다.
심 행장은 그동안 케이뱅크의 지속된 적자 행진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는데 한숨을 돌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는 상반기 순손실 395억 원을 봤다. 1분기 순손실 188억 원에서 2분기 순손실 207억 원으로 늘었다.
6월 말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10.71%로 전분기보다 2.77%포인트 떨어졌다. 카카오뱅크(16.85%)와 5대 시중은행(국민, 신한, KEB하나, NH농협, 우리)의 평균(15.92%)을 크게 밑돈다.
최근 인터넷전문은행에 관한 은산분리 규제가 완화되면서 대주주인 KT가 자금을 보탤 길도 열렸다.
그동안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율을 4%까지로 제한했지만 이를 34%까지 올릴 수 있도록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심 행장은 중금리대출분야를 강화해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 취지를 살리는 데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는 저신용자를 위한 중금리대출 활성화라는 설립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는데 자본금을 확충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다.
마침 금융위원회가 8일 중금리대출 활성화대책을 발표하면서 케이뱅크가 중금리상품을 강화할 기반도 마련됐기 때문이다.
케이뱅크는 금융위 발표 직후 2019년에 6천억 원 규모로 중금리대출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으며 금융위 정책에 적극 화답했다.
다만 KT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 문제라는 산을 넘어야한다는 점은 심 행장으로서 부담이다.
케이뱅크는 최소 자본금 1조 원가량은 확충을 할 필요가 있는데 이번 유상증자가 마무리된다 하더라도 자본금이 기존 3800억 원에서 5천억 원 정도로 불어나는 데 그친다. 이 때문에 KT의 대규모 자금 투입이 절실하다.
KT는 2016년 지하철 광고 IT시스템 입찰에서 담합을 해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7천만 원의 벌금형을 받은 일이 있다. 인터넷전문은행특례법에는 공정거래법과 조세범처벌법 등에 중대한 위반 행위가 있는 기업은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주주가 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금융위원회가 사안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한을 풀어줄 수 있는 길이 열려있기는 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심 행장이 그동안 자본 확충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며 힘을 쏟아왔다”며 “이번 유상증자를 시작으로 더욱 규모를 키워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