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 보험료 인상폭과 시기를 두고 저울질하고 있지만 10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누가 물꼬를 틀지 눈치싸움을 하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손해보험사 11곳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상반기에 81.7%로 1년 전보다 3.9%포인트 높아졌다.
▲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손해보험사 11곳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상반기에 81.7%로 1년 전보다 3.9%포인트 높아졌다. |
손해율은 자동차보험 가입고객에게 받은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로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70%대 손해율을 적정 수준으로 본다.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3분기에도 더욱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효선 삼성증권 연구원은 “폭염에 따른 자동차 운행량 증가와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침수 피해 증가 등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며 “3분기 손해보험사의 손해율은 평균 80% 중반으로 1년 전보다 6~7%포인트 올랐을 것”이라고 파악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1%포인트 오르면 600억 원 가량의 손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손해보험사의 부담이 상당하다.
이밖에 국토교통부의 표준 정비수가 인상,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임금 보상의 부담 증가, 상급병실 입원료 건강보험 적용 등에 따른 보험료 지급 부담도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도 업황을 감안해 자동차보험료 인상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손해보험사가 10월~11월에 자동차 보험료를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문제는 금융당국과 보험사가 보험료 인상폭을 두고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보험사들은 최대 6%, 적어도 3~4% 수준의 보험료 인상을 원하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인상폭이 2%를 넘겨선 안 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보험사의 보험료 인상폭은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안이지만 업계의 인·허가권 및 감독권을 쥐고 있는 금융당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자동차보험이 의무보험이라는 점에서 자동차보험료는 고객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요인인 만큼 ‘금융 소비자 보호’를 강조하고 있는 금융당국의 눈높이에 맞출 필요성도 크다.
게다가 10월에 국정감사가 진행되는 만큼 손해보험사들로서는 더욱 여론을 신경 쓸 수밖에 없는 시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소형사들이 보험료를 높여야할 필요성이 크지만 보험료가 오르면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만큼 선두권 회사들의 동향을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난해 업계 1위사인 삼성화재가 자동차보험료를 낮춘 뒤 손해보험사들이 앞다퉈 자동차보험료 인하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삼성화재가 상반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10월~11월에 자동차보험료 인상을 시사했던 만큼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료 인상이 일종의 기준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업계 특성상 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움직임에 맞춰 다른 손해보험사들도 구체적 인상폭을 결정지을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삼성화재도 금융당국 눈치를 살피며 인상폭을 원하는 수준까지 높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