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를 관통하는 파이프라인 제안도.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
북한을 거쳐 러시아와 남한을 연결하는 가스관 건설은 남한과 북한에 모두 긍정적이지만 미국이 반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스관 건설을 위해 중동산 액화천연가스(LNG) 도입 물량을 미국산으로 돌릴 필요성이 제기됐다.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한반도를 관통하는 가스관 건설은 남북한에 모두 긍정적”이라면서도 “LNG 수출 증가를 원하는 미국 이익에 반할 수 있어 성사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박 연구원은 “한국의 연간 LNG 수입량 중 3분의 1 수준을 파이프라인 가스(PNG)로 도입되면 가스 구입에만 연간 10조4천억 원 수준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남한과 북한, 미국이 종전 선언과 평화협정을 체결하면 한반도를 관통하는 가스관이 건설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평양에 가스관이 지나도록 해 북한도 가스를 공급받게 하면 계약 변경이나 차단 등의 조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진다.
또 박 연구원은 “러시아는 수요 정체를 보이는 유럽시장보다 빠르게 수요가 증가하는 아시아시장에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러시아의 가스관 투자 의지는 매우 확고하다”고 파악했다.
다만 미국이 LNG 수출을 늘리려고 해 한반도 가스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은 2200만 톤의 LNG 수출설비를 보유하고 있고 건설 중인 설비도 6천만 톤 규모에 이른다. 여기에 수출 승인을 받았으나 건설하지 않은 설비는 미국에 5천만 톤, 캐나다에 5천만 톤 수준이다.
러시아와 독일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Nord Stream 2 공사가 2020년 완공을 예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이 프로젝트에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이를 고려할 때 미국이 한반도 가스관도 반대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연구원은 “가스관 건설은 한반도 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성사만 된다면 매우 긍정적”이라며 “중장기적으로 LNG 수입을 중동에서 미국 등지로 전환하고 한반도 수요의 40% 안팎을 가스관으로 조달받는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