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뉴시스> |
한국은행이 수출 및 투자 회복세 등을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높였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국내 경제도 견실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내수가 부진하지만 투자, 수출의 양호한 흐름에 힘입어 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 올려 잡았다”고 밝혔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2.9%)는 그대로 유지했다.
한국은행은 4월에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6%로 올린 데 이어 6월에 다시 2.8%로 올렸는데 한국은행이 두 차례 연속 성장률 전망치를 높여 잡은 것은 2010년 이후 7년 만이다.
한국은행의 이번 경제성장률 전망치에는 추가경정예산 효과가 반영되지 않았다.
이 총재는 “정부의 계획대로 추가경정예산이 통과되면 경제성장률을 추가로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라며 “다만 추경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경제성장에 영향을 줄 것인지는 추경 편성내역이나 집행시기,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추경의 효과를 현 시점에서 구체적인 수치로 말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내놨다.
이 총재는 “경제가 회복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용시장 및 가계소득 여건 등 질적 측면에서 보면 아직 기대에 못 미친다”며 “추경이 편성돼 집행된다면 고용시장에 질적∙양적 개선이나 청년고용 증대 등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성장세가 뚜렷해지면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뜻도 밝혔다.
이 총재는 “성장세가 뚜렷해지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다만 완화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긴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성장세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지만 총량, 증가속도 측면에서는 우려된다”며 “주요국의 긴축 정책으로 시장 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으면서 가계의 채무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사회 안정망 차원에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가계부채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리인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금리는 마지막 수단이 돼야 한다”며 “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를 억제할 수 있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도 있는 만큼 먼저 정부의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