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올해 들어 주가가 크게 오른 증권주가 추가적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세제 개편안 관련 리스크 해소 국면에 진입하면서 증시 거래대금이 늘었다”며 “우호적 영업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 15일 신한투자증권은 증권업 최선호주로 키움증권과 더불어 한국투자증권의 모회사 한국금융지주를 제시했다. |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과 관련해 “굳이 50억 원 기준을 10억 원으로 반드시 내려야겠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주식시장 활성화가 그로 인해 장애를 받을 정도면 굳이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언급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에 대해서도 “세수에 큰 결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배당을 많이 하는 게 목표다”며 “주식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이 바람직하며, 실행 과정에서도 아니라고 하면 바꿀 수 있다”고 발언했다.
최근 여당 등 일각에서 제시된 증시 개편안 내용에 대해 투자자들은 정부의 증시부양 의지를 의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주식시장에 도움이 될 수만 있다면 세부내용 조정은 언제나 가능하다는 유연적인 발언을 내놓은 것이다.
그 결과 증시 거래대금이 급증하고 있다.
이달 일평균 거래대금은 8일 19조5천억 원 -> 9일 24조8천억 원 -> 10일 29조1천억 원 -> 11일 31조 원 -> 12일 32조 원으로 늘었다.
코스피 지수 또한 이 기간 3220포인트에서 3344포인트로 빠르게 상승했다.
임 연구원은 “세제 정책이 투자 심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시켜주며 증권업 영업환경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반도체, 인공지능 등 글로벌 투자 사이클의 반등과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맞물리면서 증시가 더욱 활성화돼 증권주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임 연구원은 “증권업종 최선호주로 한국금융지주(한국투자증권)와 키움증권을 제시한다”며 “한국투자증권의 자본력과 복리효과를 통한 한국금융지주 기초이익 체력 강화가 예상되며 주식시장 활성화에 따라 키움증권의 차별적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