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울산시에 따르면 송 시장은 울산의 부유식 해양 풍력발전산업과 수소차산업 발전을 위해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를 구축하는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송 시장은 3일 경상일보와 진행한 신년 인터뷰에서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가 구축되면 울산은 지정학적·산업적으로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을 아우르는 중심축으로 발돋움한다”며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1300만 명 규모의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를 추진해야 수도권에 대항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는 부산·울산·경남을 하나로 묶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넘어 대구·경북 경제를 하나로 묶는 광역 경제공동체를 말한다.
송 시장은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가 구축된다면 울산의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과 수소자동차산업 육성에 새로운 추진력이 생길 것으로 바라봤다.
송 시장은 그동안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산업 등의 울산시의 새 먹거리로 삼아 강력히 추진해왔다. 2019년 5월 노르웨이 국영기업 에퀴노르와 부유식 해양 풍력발전단지 기술이전, 인력양성, 공급망 구축협약을 맺기도 했다.
동남권 메가시티가 추진된다면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전략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 울산은 해상 풍력발전시설 부유체, 경남 창원은 발전용 터빈, 부산은 기자재 생산 등 기술 개발을 나눠서 추진할 수 있다. 부산·울산·경남은 800만 명 규모라 지자체 예산으로 프로젝트 비용도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다.
부산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지정한 첨단융합기계부품 제조산업 육성지역이고 경남은 나노융합 스마트부품산업 주력지역이라 울산의 해상 풍력발전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도 있다.
김경수 경남지사와 변성완 부산시장 대행은 현재 동남권 메가시티 관련 논의를 시작했으며 송 시장이 합류하기를 바라고 있다.
송 시장은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더 큰 그림을 그리는 셈이다.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구축을 통해 수소차사업에 가속도를 붙이려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소차는 울산의 또 다른 주력산업이다.
실제 대구는 중기부가 지정한 미래차부품 고효율화 등 수송기기 기계소재부품산업의 주력 육성지역이고 경북은 그린모빌리티 전장부품 등 지능형디지털기기산업 지정지역이다. 두 지역 산업 모두 울산의 그린모빌리티산업, 즉 수소차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구축을 놓고 대구·경북권이 어떻게 나올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오는 2월까지 토론회와 여론조사 등을 시도하며 행정통합 관련 지역 여론을 살피고 있지만 안동시를 중심으로 한 경북권의 반대가 만만치 않다. 안동시는 예천 도청 신도시 계획 문제로 반대의견을 공식화했다.
이처럼 대구·경북 지역이 추진하고 있는 행정통합 사안의 논의도 끝나지 않았는데 송 시장이 제안한 광역 경제공동체에 들어갈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울산시청 풍력발전 담당자는 7일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울산은 현대중공업, 세진중공업 등과 부유체를 제작하고 있다”며 “향후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때 부산·울산·경남과 함께 크게 확장할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대구와 경북 지역에도 풍력발전업체들이 있어 나중에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가 추진된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울산시청 수소차산업 담당자는 이날 통화에서 “울산은 수소차 인프라가 잘 깔린 도시다”며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사업을 경북까지 넓혀서 함께 한다면 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