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해외사업에서 순항하고 있는데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렬 사장은 국토교통부에 오래 몸담으며 여러 나라와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력한 경험이 있어 국토정보공사의 해외사업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국토정보공사에 따르면 9월 취임한 김 사장은 국토부 2차관으로 일하면서 우즈베키스탄, 파푸아뉴기니 등 세계 여러 나라의 정부 관료들과 인프라 구축을 두고 협력한 경험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사장은 국토부 2차관으로 일하던 2019년 2월에는 우즈베키스탄 교통부 차관과 교통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기술 및 인력을 교류하기로 했다.
2018년에는 파푸아뉴기니 국가기획부 차관을 만나 도로 인프라 협력을 논의했으며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해 한국의 인프라 구축 역량을 알리기도 했다.
국토정보공사 관계자는 “토지 및 공간정보 구축사업은 저개발국가에 보통 무상원조사업으로 시작한 뒤 후속 확장사업을 통해 실적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내는 때가 많다”며 “사업 수주를 위해 관련 콘퍼런스 등이 열리는데 이런 행사에 참여해 활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외 경험이 많은 김 사장이 해외사업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해외사업이 더욱 힘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정보공사는 토지 및 공간정보 구축 해외사업 수주실적이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며 순항하고 있다.
공간정보는 지상·지하·수중·수상 모든 공간상에 존재하는 건물, 도로, 산, 하천 등 자연·인공구조물의 위치와 크기, 높이 등을 전자화해 지도나 사진, 3차원 모델로 구현한 정보자원을 말한다.
국토정보공사는 토지 및 공간정보 구축사업의 수출을 시작한 2006년부터 2019년까지 모두 584억 원을 수주했는데 지난해 처음으로 규모가 100억 원이 넘는 사업을 연달아 수주하는 성과를 냈다.
국토정보공사가 2019년 10월 수주한 우즈베키스탄 토지 정보화사업은 140억 원 규모다.
공적개발원조(ODA)로 진행되는 대부분의 사업과 달리 국제입찰을 통해 국토정보공사가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는 점에서 국토정보공사의 앞선 토지 및 공간정보구축 기술을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국토정보공사는 지난해 4월 투르크메니스탄에서도 2021년까지 3년 동안 100억 원 규모로 진행되는 지적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국토정보공사가 무상원조로 시작한 사업이 후속사업으로 확대되면서 수익으로까지 연결된 사례다.
국토정보공사는 올해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와 교류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캄보디아와 공간정보 인프라 기본데이터 시범구축을 위한 원격 화상회의를 여는 등 꾸준히 해외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토정보공사가 해외사업을 통해 거둔 매출비중은 아직 한 해 매출의 1% 남짓으로 크지 않다. 국토정보공사는 2017년부터 매출 5500억 원 안팎을 내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앞선 토지 및 공간정보 구축체계를 동남아 등에 전파해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함께 진출하는 국내 공간정보 및 컨설팅 중소기업들의 실적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국토정보공사는 바라본다.
국토정보공사는 국내 공간정보 및 컨설팅 중소기업 2곳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캄보디아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국토정보공사의 해외사업은 다양한 해외 파트너들과 협력한 경험이 풍부한 김 사장의 취임으로 더욱 힘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김 사장은 1988년 행정고시 32회에 합격해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국토부 도시광역교통과장, 정책기획관, 공공주택건설추진단장, 도로국장, 교통물류실장을 거쳐 2018년 4월 국토부 2차관에 오르는 등 국토부에서만 30년 넘게 일하며 능력을 인정받은 관료출신 사장이다.
국토정보공사는 국토교통부 아래의 공공기관으로 1977년 공간정보체계의 구축을 지원하고 공간정보와 지적제도에 관한 연구 기술 개발 및 지적측량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됐다.
2015년 대한지적공사에서 이름을 바꾸고 그동안 지적정보 생산 및 관리에만 집중했던 것에서 벗어나 국토정보의 조사, 관리 등 다양한 공간정보사업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했다.
국토정보공사는 2006년 라오스에서 진행한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을 시작으로 아제르바이잔, 자메이카 등 해외에서 지적제도 개선, 지적도 제작 및 토지 등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