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첨단 IT기술을 건설현장에 접목하는 ‘스마트건설’을 바탕으로 건설현장 안전을 강화하고 있다.
3일 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변 사장은 건설 설계 단계부터 스마트안전장비의 사용을 반영하는 방식 등으로 스마트건설 활용을 대폭 늘릴 방침을 세웠다.
대표적으로 ‘한국판 뉴딜’에 들어간 스마트건설 현장관리 프로젝트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드론으로 건설현장을 찍은 영상을 분석·편집해 안전관리 등에 활용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와 관련해 토지주택공사는 현재 드론으로 찍은 영상을 여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기반 플랫폼 ‘드론웍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용역을 진행 중이다.
드론웍스 플랫폼이 예정대로 2021년 4월에 구축된다면 드론을 사용한 검측과 안전순찰 등도 더욱 손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토지주택공사는 흙막이의 변형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스마트계측 관리기술의 적용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설계지침 개정과 계측기준 수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흙막이는 건물터를 파는 도중 주변 땅의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흙막이가 무너지면 중대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변 사장은 스마트건설 기술을 건설 과정 전반에 적용해 통합 안전관리에 들어가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토지주택공사는 세종시 행복도시 5-1생활권에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를 조성하면서부터 측량과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스마트건설기술을 폭넓게 도입하기 시작했다.
5세대(5G) 이동통신망을 바탕으로 산업용 지능형폐쇄회로TV(CCTV)와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헬멧 등을 통해 건설노동자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경기도 하남 감일지구의 A7블록 건설현장에서는 위험한 요소가 생기면 건설노동자와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모바일플랫폼 등이 종합적으로 도입됐다.
변 사장은 스마트건설 기술이 적용된 개별 안전장비를 아울러 운영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을 2020년 안에 구축할 계획도 세웠다.
토지주택공사 관계자는 “정부가 300억 원 이상의 건설공사에 스마트안전장비 적용을 의무화하면서 우리도 스마트건설 기술과 장비의 활용을 더욱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토지주택공사가 스마트건설을 건설안전에 적극 도입하려는 배경에는 변 사장이 건설현장의 안전 강화를 강조해 왔던 점이 맞닿아 있다.
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건설현장의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 46명에 이르렀다. 이 사고의 90% 이상이 기본적 안전수칙을 어겨서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변 사장은 2019년 4월 취임 이후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안전기획실을 사장 직속조직으로 만들었다. 2020년 초에는 안전기획실 아래 안전관리단을 추가로 꾸렸다.
건설현장 400여 곳을 포함한 전국의 시설물을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지도화해 기상청 재난정보와 실시간으로 연계하는 등 IT기술도 폭넓게 도입했다.
변 사장은 7월 안전경영 선포식에서 발주공사 분야의 중점관리 등을 내놓으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토지주택공사가 무엇보다 우선시하는 가치”라고 말했다.
토지주택공사 건설현장의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2019년 4명으로 2018년 9명의 절반을 밑돌았다. 건설현장에서 일어난 중대재해 수도 3건으로 2018년 9건의 3분의 1로 줄었다.
다만 부상자까지 합친 안전사고 사상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김희국 미래통합당 의원이 토지주택공사에게 받은 자료에 따르면 토지주택공사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사상자 수는 2019년 312명으로 집계됐다. 2017년 188명 이후 해마다 늘었다.
토지주택공사 관계자는 “IT기술을 적극 활용해 건설노동자의 안전을 철저하게 관리하면서 입주민과 생활밀착형 안전사고 예방에 필요한 대책 등도 지속해서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이제 안전이다.
코로나19는 삶의 질보다 안전이 우선함을 깨닫게 했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다. K-Pop에서 K-방역에 이르기까지 국제적 위상도 크게 높아졌다.
하지만 안전의 눈으로 살펴보면 우리 사회는 여전히 가야 할 길이 멀다.
위험의 외주화를 막는 ‘김용균법’이 시행된 지 반 년이 넘었지만 산업현장의 사망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핀테크를 필두로 비대면산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개인정보 보호대책을 마련하는 일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제 안전이 기업을 평가하는 주요한 잣대가 됐다. 안전경영이 기업의 경쟁력인 시대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안전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과 안전사회를 향한 정부와 정치권의 움직임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1부 안전경영이 경쟁력
2부 공기업이 앞장서야
14회 한국도로공사
15회 한국토지주택공사
16회 기재부 안전경영 평가 강화
3부 보안도 안전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