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20일 “인터넷전문은행은 신용대출의 비중이 전체 대출의 96%에 이르고 개인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에 대부분 의존해 대출 금리와 한도를 정한다"며 "외적 성장을 위해 다른 은행들보다 느슨하게 대출 기준을 적용한 면이 있어 가계부채가 부실화되면 금융회사 가운데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왼쪽)와 케이뱅크 로고.
인터넷전문은행은 개인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을 기반으로 만든 신용평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신용평가사 신용등급은 개인의 위험 수준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개인 신용평가사는 개인사업자 대출이나 전세 보증금 등 대출 정보, 보유 부동산 등 자산정보, 임대차 계약 정보 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 신용평가사인 '나이스(NICE)평가정보'의 신용등급 자료에 따르면 신용등급 1등급 비중은 2013년 말 경제 활동인구의 26.2%에서 2018년 6월 41.5%로 상승했다.
2등급까지 포함하면 52.7%에서 69.9%로 올랐다. 연체 경험이 없는 일반 근로자나 자영업주라면 누구나 신용대출을 연간 소득에 준하는 수준으로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서 연구원은 “인터넷전문은행이 개인 신용평가사 신용등급을 기반으로 신용대출을 유치해 부동산, 주식 등 위험성이 높은 투자를 목적으로 대출한 사람들을 걸러내지 못했을 것”이라며 “인터넷전문은행의 신용대출이 무리한 투자자금 활용이나 대출사기 등의 요인으로 예상하지 못한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국내 가계부채는 1998년 외환 위기나 2008년 미국 금융 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내부적으로 부동산시장이 급격히 침체되면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 연구원은 “국내 가계부채는 3월 말 기준으로 가처분소득의 253% 수준인 2243조 원으로 집계돼 스위스에 이어 세계 2위 규모”라며 “신용대출이나 부동산 담보대출 등 특별히 사용 목적을 제한하지 않는 대출 비중도 80%에 이르러 정부와 금융기관이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