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BMW코리아가 수년 전부터 차량 화재사고가 발생했지만 원인 규명보다 보상 중심으로 대응하면서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BMW코리아는 2016년 2월 잇단 차량 화재사고로 떨어진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적극적 보상, 지속 관리, 정비를 위한 기술 공개 등을 담은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화재사고 조사 결과가 ‘원인 불명’으로 나왔다며 도의적 책임을 지고 고객들에게 보상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김 회장은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고객 만족 시스템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년6개월여 뒤 BMW코리아는 또다시 화재사고 논란에 휩싸였고 김 회장은 이번에도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말로 수습에 나서고 있다.
김 회장은 8월6일 열린 잇단 화재사고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히며 머리 숙여 사과했다.
2년6개월여 전과 비교해 달리진 점이 있다면 BMW가 화재의 원인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결함 때문이라고 밝힌 점이다. 그러면서도 2018년 6월에야 화재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글로벌 상위 완성차회사인 BMW가 높은 기술력과 기술 인력을 보유했으면서 화재의 원인을 밝히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배경을 놓고 의구심이 커지고 있으며 늑장 리콜, 결함 은폐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김 회장이 다시금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를 내세우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지만 법인장급으로서 역량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입차 브랜드의 한국 법인들은 사실상 영업에만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BMW 차량 화재사고처럼 큰 일이 발생하면 본사의 지침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회장이 퇴임을 앞둔 상황에서 화재사고 수습이 마지막 과업으로 떠올랐지만 해결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2016년 본사로부터 ‘3년 정도 더 일해달라’는 요구를 받은 뒤 2017년 당시 한상윤 BMW 말레이시아법인장에게 BMW코리아 사장 자리를 물려주고 회장으로 승진했다.
이르면 2019년에 BMW코리아 경영일선에서 물러나는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국토교통부가 BMW 차량 화재사고를 계기로 자체적 조사 능력과 권한을 강화하기로 했지만 BMW가 협조하지 않으면 화재사고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며 “BMW 독일 본사가 화재사고 관련 다양한 정보나 자료를 확보하고 있더라도 BMW코리아와 공유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