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원 부회장이 이끄는 SK디스커버리그룹이 SK그룹에서 계열분리될 날이 다가오는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SK디스커버리그룹은 이미 SK그룹 안에서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데다가 최근 정부의 압박까지 더해지면서 계열분리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 부회장이 이끄는 SK디스커버리그룹은 SK그룹에 포함돼 있지만 사실상 독립적 기업집단으로 볼 수 있다.
최 부회장은 2006년 12월에 SK케미칼을 대표이사를 맡은 뒤부터 10년 넘게 SK디스커버리그룹을 독자적으로 이끌고 있다.
지주회사인 SK디스커버리 주식을 꾸준히 사들여 2018년 7월12일 기준으로 지분율이 37.54%에 이를 만큼 지배력도 확고하다.
최 부회장은 2017년 12월 기존 SK케미칼을 지주사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SK디스커버리로 회사이름을 바꾸고 사업부문을 분할해 신설법인 SK케미칼을 설립했다.
SK디스커버리는 SK케미칼을 비롯해 SK가스, SK신텍, SK플라즈마 등을 거느리면서 사실상 SK디스커버리그룹을 완성했다.
SK그룹에서는 수년 전부터 최 부회장 외에도 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의 계열분리 가능성도 계속 제기됐다. 다만 최신원 회장이 보유한 SK네트웍스 지분이 1%도 되지 않아 당장 계열분할할 가능성을 크지 않은 것으로 재계는 바라본다.
최 부회장이 SK디스커버리그룹을 독립적으로 경영하면서도 SK그룹과 계열분리를 하지 않았던 이유는 최 회장과 관계도 좋은데다 굳이 계열분리의 필요성을 못 느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큰 데 최근 들어 정부의 압박이라는 외부요인이 생겨나고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6월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경영에 참여하는 대주주 일가는 주력 핵심 계열사의 주식만을 보유하고 나머지는 가능한 빨리 매각해 달라”며 “지분 매각이 어렵다면 가능한 계열분리를 해 달라”고 말했다.
공정위는 국내 대기업들이 일감 몰아주기와 같은 내부거래를 총수 일가의 사익편취, 승계자금 마련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보고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SK그룹은 공정위의 내부거래 규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공정위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으로 SK그룹은 내부거래 비중이 23.3%로 국내 대기업그룹 가운데 가장 높다. 금액규모도 29조4천억 원으로 현대자동차그룹(30조3천억 원) 다음으로 크다.
특히 석유화학 계열의 내부거래 규모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큰 계열사인 SK에너지는 내부거래 비중이 66.3%, 거래규모는 13조 원에 이르렀다.
다만 최 부회장이 SK디스커버리그룹을 SK그룹에서 계열분리하기 위해서는 풀어야할 마지막 숙제 하나가 남아 있다.
SK건설의 지분 정리 문제다. 최 부회장은 계열분리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지주사체제의 완성을 위해서도 SK건설 지분 정리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현행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지주회사의 행위제한 규정에 따르면 지주회사는 계열사가 아닌 회사의 주식을 5% 이상 보유할 수 없다.
SK그룹의 지주사인 SK와 SK디스커버리 모두 SK건설의 지분을 들고 있다. 2018년 3월 말 기준으로 SK의 지분율은 44.48%, SK디스커버리의 지분율은 28.35%다.
SK디스커버리는 2019년 말까지 SK건설의 지분을 모두 처분하거나 SK건설의 지분율을 40%까지 높여 자회사로 편입해야 한다.
SK건설이 SK와 SK디스커버리 가운데 어느 쪽으로 편입될 지를 놓고 전망이 엇갈린다.
증권업계에서는 SK건설의 상장이 먼저 진행된 뒤 SK 또는 SK디스커버리가 지주회사의 상장 계열사 지분 최소 요건인 20%만 남기고 나머지 지분을 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