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재보험시장을 36년 동안 독점해온 코리안리가 강적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 김기홍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가 제2의 재보험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종규 코리안리 사장은 오래 버티기 힘들 것이라며 견제에 나섰다. 보험업계는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제2의 재보험회사의 경쟁력을 의심하는 시선도 보낸다.
|
|
|
▲ 원종규 코리안리 대표이사 |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김기홍 전 부원장보는 이달 초 금융감독원을 찾아 '팬아시아리' 재보험사 설립 계획을 설명하며 예비인가 가능성을 타진했다. 금감위 출신인 정채웅 전 보험개발원장도 법률자문으로 함께 참여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개괄적 차원에서 자본금 조달 계획 등을 소개했다”며 “예비인가 신청이 들어오면 구체적 법적 요건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전 부원장보는 특정 대주주 없이 몇몇 출자자가 함께 지분을 나눠서 참여하는 방식으로 재보험회사를 설립할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설 재보험회사에 대한 출자자가 일부 확정된 상태"라며 "여러 출자자가 공동지분을 확보해 향후 증자에도 참여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설 재보험회사 초기 자본금은 3000억 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보험사 설립 시도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2년 이후 재보험회사 설립은 5차례나 시도됐지만 사업성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모두 무산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과거에도 재보험회사 설립 움직임이 몇 차례 있었지만 대부분 무산됐는데 이번에는 추진력이 강해서 50년 만에 제2 재보험회사 설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해보험회사 등 금융권은 제2 재보험회사 설립에 대해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제2 재보험회사가 등장하면 코리안리(1963년 설립)의 국내 재보험시장 독점체제에서 경쟁체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재보험시장 규모는 2012년 매출기준 6조6000억 원 수준이다. 코리안리는 이 시장에서 점유율 65%로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나머지는 외국계 10개 재보험회사가 나눠 갖고 있다.
|
|
|
▲ 김기홍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현 파인트리파트너스 대표) |
손해보험회사의 한 관계자는 "코리안리 하나만으로 보험사 보상책임을 모두 분담할 수 없다"며 "코리안리가 국내 수요를 모두 소화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추가 재보험회사 설립은 참여 주체들에게 가격이나 효용 등에 있어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종규 코리안리 사장은 재보험시장이 포화상태인 상황에서 새로운 재보험회사가 경쟁력을 얻기는 힘들 것으로 본다. 재보험시장 특성상 대형공장, 유조선 등 기업성 보험 비중이 높다보니 작은 규모의 자기자본으로 이들을 소화하기 힘들다는 얘기다. 원 사장은 “3천억~5천억 원의 자기자본으로 재보험사업을 시작하면 길어야 5년을 못 버틸 것”이라고 말했다. 코리안리의 자기자본은 1조5천억 원이다.
원 사장은 또 뮌헨리, 스위스리 등 세계적 재보험회사가 이미 한국에 진출해 있고 코리안리가 이미 이들 재보험회사들과 경쟁하고 있어 국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정도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재보험회사가 모습을 드러낼 경우 코리안리에 적잖은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경기불황으로 재보험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리안리도 이런 상황을 감안해 국내시장보다 해외시장 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다. 원 사장은 지난해 6월 위임사에서 2020년까지 국내 매출 의존도를 77%에서 50%까지 낮추겠다고 밝혔다.
코리안리는 자기자본 수익률을 고려할 때 해외 재보험회사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형 해외 재보험회사들의 국내시장 자기자본 수익률은 20~30%로 높지만, 코리안리는 8~9%에 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신규 재보험회사의 등장 가능성은 원 사장으로서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코리안리 관계자가 "추가로 신규 재보험회사가 진입할 경우 국내 재보험회사간 무리한 가격경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걱정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