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구본준 LG 부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이 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인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구본준 LG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 4대 기업 대표가 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여는 신년인사회에 참석했다.
이날 신년인사회에 4대 기업이 참석하면서 새해에 문재인 정부와 재계의 관계가 진전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삼성은 불편하고 현대차는 밀고 당기기
삼성그룹은 문재인 정부와 관계가 불편하다. 경찰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자택공사 비리 수사를 진행하고 있고 여기서 차명계좌가 발견되면서 검찰도 수사에 들어갔다.
국세청은 과거 삼성특검에서 확인된 이 회장 차명계좌에 세금추징을 시도하고 있다. 공정위는 순환출자 가이드라인을 정비해 삼성SDI가 보유한 삼성물산 지분 전량을 처분하도록 했다. 여러모로 정부와 거리가 느껴지는 대목이 많다.
여기에 정부가 금산분리 규제를 강화할 조짐을 나타내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배 문제가 그룹 전체를 뒤흔들 수 있는 잠재적 뇌관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삼성그룹이 정부와 관계 개선을 시도하기도 쉽지 않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전 정권에서 뇌물죄 혐의로 재판이 진행되고 있어 정부와 소통에 나서기에 조심스럽다. 미래전략실을 해체한 뒤 대관 역량도 이전만 못하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정부 정책기조에 발맞춰 현대차가 자체적으로 해소해야 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정부와 호흡을 맞춰가며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현대차그룹은 지배구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주요 대기업 가운데 기업 지배구조를 순환출자에 의지해 지탱하고 있는 곳은 사실상 현대자동차가 유일하다. 이 때문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여러 차례 현대차의 순환출자 해소를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현대차의 공조도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말 중국 방문에서 충칭 현대차 공장을 방문했는데 문 대통령이 해외 기업 현장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었다. 문 대통령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해 신남방정책을 밝힌 뒤 현대차가 현지에 합작 법인을 설립한 사례도 있었다.
정부는 4차산업혁명 정책의 중심에 전기·수소차와 자율주행차 등을 놓고 있어 현대차와 공조를 이뤄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역시 한미FTA 자동차부문 재협상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적극 협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 SK 정부와 관계 급물살, 모범생 LG
SK그룹은 여러모로 문재인정부에서 주목받는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성장을 위해 초연결 지능화 인프라를 강조하고 있는데 SK그룹이 추구하는 방향과 다르지 않다.
정부 4차 산업혁명 컨트롤타워인 4차산업혁명위원회에는 대기업 가운데 현대차와 SK텔레콤 임원이 민간위원으로 참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의 관심사항인 사회적 가치 창출에 선도적 역할도 한다.
최태원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더블바텀라인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전에 사회적기업과 관련한 책을 내기도 했는데 정부의 사회적경제 구상을 민간에서 주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LG그룹은 재벌대기업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업이다. 일찌감치 지주사체제를 갖췄고 문재인 정부 들어 LG상사를 지주사에 편입하면서 김상조 공정위원장의 칭찬을 받았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월 혁신동력 확산을 위해 기업과 접촉을 하면서 LG그룹을 먼저 찾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게 여겨진다. 김 부총리는 “상생협력의 모범 기업”이라고 평가했고
구본준 부회장은 신규투자 19조 원, 추가 채용 1만 명을 약속하며 화답했다.
김 부총리와 구 부회장의 만남 이후 정부는 상당기간 끌고 오던 LG디스플레이의 중국 올레드(OLED) 공장 건립을 승인하며 관계를 더욱 돈독히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