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부동산대책에 영향을 받아 주택담보대출로 얻는 은행들의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부가 은행의 영업관행 변화도 주문하고 있는 만큼 은행들은 앞으로 기업대출과 리스크관리 역량강화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
|
|
▲ (왼쪽부터) 함영주 KEB하나은행장과 위성호 신한은행장, 윤종규 KB국민은행장, 하영구 은행엽합회장 등 은행권 수장들이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금융권 간담회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을 발언을 듣고 있다.<뉴시스> |
은경완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3일 “8.2 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은행 자산성장의 축은 가계에서 중소기업여신으로 이동할 것”이라며 "조만간 발표될 가계부채종합대책까지 고려하면 가계여신 성장률 둔화는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기존 청약조정지역 가운데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각각 60%와 50%에서 40%로 낮췄다.
정부가 2일 부동산대책을 내놓은 뒤 시중은행들은 강화된 대출규제를 3일부터 자체적으로 바로 적용하고 있다.
바뀐 규정은 감독규정 개정절차 때문에 2주일 뒤부터 적용되지만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각 금융협회장들과 시중은행장 등에게 선대출 수요에 따른 ‘대출쏠림’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주문했기 때문이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도 부동산대책과 관련해 “은행이 어떤 영업전략을 선택하고 어떤 영업행태를 보이는가에 성공 여부가 달려있다”며 “시장의 자율성이란 명분으로 가계대출 위주의 편중된 영업만 몰입하면 어떤 대책도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고 당부했다.
최 위원장을 비롯한 금융당국 고위급 인사들이 사상 최대실적을 낸 은행을 향해 ‘보신주의적 영업관행’을 질타하는 상황에서 은들이 예전보다 발 빠르게 정부정책에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번 부동산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수요 40만 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은 기존에 1인당 평균 1억6천만 원을 빌릴 수 있었지만 이제는 1억1천만 원 수준만 대출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은행들은 그동안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예대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을 거둬왔는데 영업전략에 수정이 불가피해진 셈이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의 경우 대출규제를 현재와 같이 가산금리 확보수단으로 활용해 단기적으로 실적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하지만 주택수요 둔화와 가격조정을 가정할 경우 은행 수익성에 끼친 긍정적 효과는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 위원장이 생산적 분야에 자금을 지원하는 ‘생산적금융’을 앞세우고 있는 만큼 앞으로 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보다 중소기업과 벤쳐기업 등 기업 신용대출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은행들은 최근 잇달아 기술보증기금 및 신용보증기금 등과 손잡고 중소기업대출을 늘리기 위한 채비를 하고 있다.
은행들은 지난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 부실채권에 발목잡혔던 경험이 있는 만큼 리스크관리 강화에도 더욱 힘 쓸 것으로 보인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와 부동산규제 강화 등 최근 영업환경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은행이 보유한 리스크관리 역량과 안정성, 영업력을 활용해 새 수익원을 찾는 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