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문재인 정부의 가계대출과 부동산정책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올해 계획하고 있는 대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이번 주택시장 안정적 관리방안은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과도한 투기수요를 억제하려는 목적”이라며 “주택시장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이므로 은행에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이번 주택시장 안정적 관리방안은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과도한 투기수요를 억제하려는 목적”이라며 “은행업에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뉴시스> |
문재인 정부는 19일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다.
청약조정지역의 경우 LTV를 기존 70%에서 60%로, DTI를 기존 60%에서 50%로 각각 10%포인트씩 내렸다. 또 청약조정지역의 집단대출에 DTI가 새로 적용됐다.
다만 정부는 서민,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가 청약조정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에는 기존의 LTV 70%와 DTI 60%를 유지하기로 했다.
무주택자는 부부합산 연 소득이 6천만 원 이하이면서 5억 원 이하의 주택을 구매하는 세대주를 말한다. 실수요자는 청약조정지역 안에 55%가량을 차지한다.
정부의 부동산대책에도 은행들은 올해 계획하고 있는 4~5% 수준의 대출성장률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윤석모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규제 강화는 실수요자에게는 적용되지 않고 집단대출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강화 역시 잔금대출에 한해서 적용되는 만큼 은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파악했다.
윤 연구원은 “현재 가계대출 증가 가운데 절반을 차지하는 중도금대출 역시 이번 대책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번 부동산대책으로 투기수요 억제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증가율 둔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은행권에서 이미 대응전략을 세워 진행하고 있다.
윤 연구원은 “은행들은 투기수요 억제정책의 대안으로 중소기업대출을 늘려왔다”면서 “중소기업대출은 올해 초보다 이미 3.3% 성장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