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가 초대형 종합금융투자(IB) 사업자 신청 시기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덩치가 커진 자본에 걸맞는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사업 개시가 필요하지만 섣불리 나섰다가 인가 신청이 거절당할 경우 '자격미달'에 따른 따가운 시선을 받을 수도 있다.
|
|
|
▲ 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겸 미래에셋대우 회장. |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지난달부터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지정 및 단기금융업(발행어음 사업)인가 신청 서류를 받고 있지만 아직 한 곳도 서류를 넣지 않았다.
현재 자기자본이 4조 원 이상인 미래에셋대우와 NH투자증권, KB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등은 단기금융업을 비롯한 종합금융투자업무를 준비하고 있다.
이 가운데 미래에셋대우와 삼성증권만이 금융감독원에 인가 가안을 냈다.
미래에셋대우는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 제도가 발표됐을 당시 해당 사업에 가장 큰 수혜자로 꼽혔는데 발행어음 시장 선점에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공식적 인가 신청에 더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자기자본 규모가 국내 증권사 가운데 가장 커 투자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래에셋대우는 특히 투자금융 분야에 강점이 있어 신규 발행업무로 벌어들일 수 있는 새로운 수익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됐다.
미래에셋대우는 자본의 규모가 커진데 비해 순이익이 그에 못 미쳐 자기자본이익률(ROE)이 떨어짐에 따라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라도 인가신청을 서둘러 신사업에 들어가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초대형 투자금융을 하려고 자본은 늘려놓았는데 기업금융 등 신사업이 진행되지 않아 계획했던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자기자본이익률(ROE)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 자기자본이익률은 순이익을 연평균 자기자본으로 나눠 계산한다.
미래에셋대우의 1분기 말 기준 자기자본이익률은 6.6%로 다른 초대형 경쟁 증권사인 한국투자증권(12.6%), KB증권(10.56%), NH투자증권(7.6%) 등보다 낮다.
미래에셋대우는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새로운 금융위원장이 아직 선임되지 않은 만큼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을 두고 어떤 정책 기조가 펼쳐질지 모르기 때문에 위험부담을 감수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신청서를 냈다가 반려당할 경우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을 펼칠 자격이 없다는 말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래에셋대우는 고객의 투자일임 재산을 한국증권금융에 예치하기로 하고 그 대가로 100억 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것이 금융감독원에 적발됐다. 이 때문에 기관경고 징계를 받았는데 초대형 종합투자금융사업자 지정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기존에는 금융당국이 기업금융의 활로를 다각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증권사들의 초대형 종합투자금융사업을 장려한 만큼 큰 문제가 아닌 이상 인가에 관대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했는데 현재로선 불확실한 상황이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와 관련한 시행 세칙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업의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자본확충을 했는데 사업개시를 못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 관련 시행세칙이 완벽하게 정비되지 않았음에도 지난달부터 인가신청 서류를 받겠다고 발표한 것”이라며 “증권사를 배려한 차원이었고 아직 신청서를 낸 증권사는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