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가 성황리에 끝났다. 이번 포럼에는 베트남 금융당국자는 물론 아시아개발은행(ADB), 아세안+3거시경제조사기구(AMRO) 등 국제기구가 함께해 K-금융의 아세안 확장, 특히 베트남 시장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 많은 논의를 나눴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에필로그 기사를 통해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금융사들의 업권별 현황과 전략을 짚고, 포럼 현장 기사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도 전한다. <편집자 주>
- 글 싣는 순서
① 베트남은 여전히 국내 은행에 기회의 땅, 신한 ‘선전’ 속 다른 은행들 속도전
② [인터뷰] 베트남우리은행 김병진 “리테일 비중 60% 목표, 뉴원뱅킹으로 동력 키운다”
③ 한국 기업만 1만 곳, KB·하나·농협·IBK ‘전략시장’ 베트남 다시 본다
④ 보험침투율 낮은 베트남 시장, 속도는 더뎌도 성장 잠재력은 분명히 있다
⑤ [인터뷰] 베트남 한국투자증권 신현재 "높은 자본시장 성장성, 디지털 역량으로 리테일 경쟁력 높일 것"
⑥ 베트남 캐피털 시장도 본격 성장 준비 중, 국내 여신사 무기는 '리스크 관리'
⑦ [인터뷰]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장 이영직, “아세안 르네상스 촉매제 되겠다”
⑧ [인터뷰] 주한베트남대사 부 호 “베트남은 문을 닫지 않는다, 균형과 개방이 성장의 비결”
|
|
| ▲ 이영직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장이 4일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에서 열린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에서 연사 발표를 듣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하노이(베트남)=비즈니스포스트] 5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 컨벤션센터는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금융기관과 중소벤처기업 관계자들로 북적였다.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와 기술보증기금이 함께 주최한 ‘찾아가는 중소기업 금융지원 설명회’가 열렸기 때문이다.
이번 설명회는 아세안, 특히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중소벤처기업인들에게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을 알리고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모인 중소벤처기업인들은 금융사의 발표를 듣고 미리 신청한 순서에 따라 1대1 금융 상담을 받았다. 기술보증기금뿐 아니라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직접 발표를 통해 금융상품을 설명했고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등은 1대1 상담을 진행했다.
베트남 진출 중소벤처기업인들은 행사 이후에는 금융사 관계자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하며 정보를 나누고 실질적 도움을 얻었다.
이영직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장은 설명회 시작 전 인사말에서 “정부와 공공기관, 금융권, 기업이 함께 모여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나누고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이 자리를 만들었다”고 말했는데 그 목적을 성실히 이뤄낸 셈이다.
이번 행사는 이영직 센터장이 인도네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마련한 ‘찾아가는 설명회’ 행사다.
이 센터장은 9월 말 자카르타에서 ‘찾아가는 원스톱 금융지원 설명회’라는 이름으로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중소벤처기업의 금융접근성을 높이는 행사를 열었다.
당시 좋은 반응을 얻자, 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참석차 베트남을 방문하면서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이 센터장은 4일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에서 ‘한-아세안 협력 확대를 위한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에서 키노트 발표를 했다.
이 센터장은 올해 들어 그 어느 때보다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금융협력센터가 있는 인도네시아와 이번에 찾은 베트남을 비롯해 싱가포르, 필리핀 등을 돌며 포럼, 설명회, 금융당국자 면담 등을 통해 K-금융의 경쟁력을 알리고 있다.
이 센터장이 아세안 주요국을 하나하나 찾으며 바쁘게 움직이는 이유는 명확하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갈등에 따른 아세안의 지정학적 중요도가 결국 ‘아세안 르네상스’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센터장이 4일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에서 진행한 발표 주제 역시 ‘글로벌 불확실성 속 아세안 르네상스: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와 베트남의 기회’다.
| ▲ 이영직 센터장(가운데)이 4일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에서 열린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에서 응우옌 응옥 아인(Nguyen Ngoc Anh) 베트남 재무부 국채관리및대외경제관계국 부국장(오른쪽), 이재면 주베트남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이 센터장은 5일 행사장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도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아세안의 발전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는 “아세안은 인구가 7억 명에 육박하고 매년 5~7%씩 성장하고 있다”며 “2018년 미중 갈등과 달리 이번 지정학적 리스크는 글로벌 공급망 변화로 이어지고 이 거대한 변화 속에서 아세안은 한 단계 성장할 좋은 기회를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세안 성장이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조금이라도 아세안 성장에 기여하고 경제성장률의 일부를 함께 만들 수 있다면 해외시장 확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 센터장은 “그러려면 국내 주요산업의 아세안 진출이 늘어야 하는데 금융이 촉매제 역할을 해야 한다”며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는 산업 진출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금융사들의 아세안 진출의 촉매제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를 촉매제로 국내 금융사의 아세안 진출이 늘고 이를 통해 결국 한-아세안의 산업협력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현지 진출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금융서비스를 직접 연결해주는 이 센터장의 ‘찾아가는 설명회’ 시리즈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 센터장은 12월에는 자카르타에서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과 함께 ‘2025 한-아세안 금융협력포럼’도 열 준비를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맏형’격 나라다.
아세안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잡아야 하는 나라인데 금융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자체 역량만큼이나 금융산업 관련 각종 규제권을 쥐고 있는 OJK과 유대관계도 주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가 2025 한-아세안 금융협력포럼을 OJK와 공동주최하는 만큼 현지 진출 국내 금융사의 어려움을 나누고 서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셈이다.
이 센터장은 “10년 전만해도 국내 금융사의 아세안 진출은 허황된 얘기로 여겨졌는데 지금 보면 기적처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주요국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며 “아세안은 우리에게 정말 소중한 시장으로 금융협력센터를 통해 한-아세안 협력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는 국내 금융사의 아세안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 주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아래 출범한 조직이다.
현재 이 센터장을 포함해 국내 주요 금융공공기관에서 파견 나온 금융관 5명과 연구원 2명 등 모두 10명이 일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금융위원회 고위공무원으로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제39회 행정고시로 공직에 진출해 재정경제부 국고국 회계제도과, 금융위원회 기획조정관실과 금융정책국, 금융분쟁대응TF단장, 감사교육원 교육운영부장 등을 거쳐 지난해 9월부터 한-아세안금융협력센터를 이끌고 있다. 현재 주아세안 대한민국 대표부 재경관도 함께 맡고 있다. 이한재 기자
| ▲ 이영직 센터장이 4일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에서 열린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에서 질의응답 시간에 답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