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환경단체들이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는 철강산업도 온실가스 배출을 30% 감축하는 내용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전라남도 광양에 위치한 포스코 광양제철소. <포스코> |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환경단체들이 정부에 철강산업 감축량을 높여잡을 것을 촉구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4일 입장문을 통해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들어갈 철강산업 감축량을 30% 이상으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기후솔루션, 기후넥서스, 빅웨이브, 당진환경운동연합 등 국내 환경단체 여럿이 참여하고 있는 연대체다.
철강산업은 현재 가장 감축이 어려운 산업 분야로 꼽힌다. 고품질 철강은 생산 과정에서 코크스를 촉매로 사용해야 하는데 이를 경제성이 있는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현재로서는 없기 때문이다.
유일한 기술적 대안은 코크스를 수소로 바꾼 '수소환원제철'인데 상용화 시점은 아무리 빨라도 2030년 이후가 될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현재 철강은 한국 산업부문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감축 속도도 매우 더디다. 2024년 기준 철강업종 조강 생산량은 전년 대비 4.8% 감소했으나 온실가스 배출량은 단 0.1% 줄었다.
현재 기후에너지환경부를 통해 수립이 진행되고 있는 2035 NDC 산업부문 감축목표는 2018년 대비 21~30% 수준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국가 전체 감축목표가 2018년 대비 48~65%로 논의되고 있는 상황과 산업부문이 국내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1%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산업 부문 감축목표는 너무도 미흡한 수준"이라며 "산업의 탈탄소화 노력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2035 NDC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부는 여태까지 관례적으로 철강산업에 다른 산업들보다 낮은 감축목표를 부여한 전적이 있다.
2030 NDC를 보면 정부가 세운 철강산업 감축목표는 2018년 대비 5%에 불과했다. 이는 포스코나 현대제철 등이 자체적으로 세운 목표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환경단체들은 철강산업계가 이처럼 낮은 정부 목표 때문에 철강산업계가 안일한 태도를 갖고 탈탄소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저가 수입 제품 공세와 기존 내수 소비시장 위축에 더해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녹색 무역 장벽이 본격 시행되고 있다"며 "자국 산업 보호라는 명목하에 저탄소 전환을 가로막는 것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수소환원제철은 2030년 상용화 기반 구축을 목표로 잡고 있고 2035 NDC 초안에도 생산량 150만 톤을 실현할 것으로 명시돼 있다.
철강산업계는 이와 같은 계획이 지나치게 빠른 것이라며 상용화 시점을 2037년 이후로 잡아야 한다며 2035 NDC에서 수소환원제철을 제외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녹색철강시민행동은 "감축목표 후퇴와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지연은 결국 빠르게 변하는 국제정세만큼이나 빠르게 한국 철강업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며 "하루빨리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산업 탈탄소 기술을 마련하는 것이 재도약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시점을 2035년 이전으로 설정해 그 이전까지 상용화에 필요한 에너지 인프라 등 상용화 실현에 필요한 환경 구축에 정부와 산업계가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