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규모가 아닌 효율로 인공지능(AI) 경쟁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을 찾는 것이 SK그룹의 미션"이라며 "AI가 이제는 규모(스케일) 경쟁이 아닌 효율의 경쟁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효율성을 개선하면 좀 더 자원이 적은 나라도 AI에 훨씬 더 접근이 용이해지고, AI에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그룹의 세 가지 영역에서 AI 솔루션을 찾고 있다.
첫번째는 메모리반도체 솔루션이다.
최 회장은 "메모리 칩의 공급 병목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보면은 첫 번째는 설비투자(CAPEX)"라며 "2027년 용인 클러스터를 오픈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용인클러스터에는 커다란 공장(팹)이 4개 들어가는데 1개의 거대한 팹에는 청주 M15X 팹 6개가 들어갈 수 있는 규모"라며 "용인 클러스터가 다 완성이 되면 24개의 청주 M15X 팹이 동시에 들어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두번째로는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SK가 준비 중인 미래 메모리 집과 컴퓨팅에 가장 효율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설계부터 다르게 구축된 AI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우리 스스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칩 레벨부터, 전력은 물론, 운영까지 포함해서 가장 효율적인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SK그룹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울산에 1기가와트(GW)급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설로 약 25조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7만8천여 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 솔루션은 제조 AI 도입이다.
SK그룹은 지난 10월31일 엔비디아의 그래픽저장장치(GPU)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를 활용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제조 AI는 자동차, 로봇 등 물리적 형태의 실물 기기에 적용되거나, 상품을 생산하는 제조업 공장 등에 활용되는 AI 기술을 의미한다.
최 회장은 "AI를 메모리 칩 생산에 적용해 칩 생산 속도와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며 "특히 엔비다와 협업을 통해 메모리 생산에 AI를 저장하는 것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엔비디아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토입해 SK하이닉스에 특화된 가상 공장을 만들고 있다"며 궁극적으로 메모리 칩 생산 공장을 완전히 자율화하고. 제조 AI 솔루션을 다른 산업과 스타트업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열어두겠다"고 덧붙였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