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LG전자, IFA 2025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 주제로 AI홈 경험 제시

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 2025-09-04 11:11:4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LG전자, IFA 2025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 주제로 AI홈 경험 제시
▲ . LG전자는 전시관 입구에 AI홈 허브 '씽큐 온'의 지휘 아래 다양한 가전들이 서로 연결되며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 하는 'LG AI홈'을 형상화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 연출 공간을 마련했다. < LG전자>
[비즈니스포스트] LG전자가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고객의 일상으로 다가온 'LG AI홈' 경험을 제시한다.

LG전자는 현지시간 5일부터 닷새 동안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25'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IFA는 미국 CES, 스페인 MWC와 함께 세계 3대 전자·IT 전시회로 꼽힌다. 

올해는 약 3745㎡ 규모의 전시 공간에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를 주제로 △고객이 실생활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LG AI홈' 솔루션과 △유럽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인공지능(AI) 가전 신제품 25종을 선보인다.

특히 올해는 지금까지 중 가장 큰 규모인 약 1762㎡의 기업간거래(B2B) 고객 전용 상담 공간을 마련해, 현지 유통 업체를 비롯한 B2B 고객 공략에 나선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LG 씽큐 온'이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 외부 서비스를 연동해 고객의 다양한 생활 요소를 맞춤 조율하는 AI홈 솔루션을 소개한다.

먼저 전시관 입구에 들어서면 'LG AI홈'을 오케스트라 공연에 빗대어 표현한 연출 공간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가로 폭 20m의 미디어월을 배경으로 총 21대의 AI 가전을 오케스트라 공연장처럼 배치하고, 미디어월 속 'LG 씽큐 온'의 지휘 아래 다양한 가전들이 서로 연결되는 미디어 아트를 더해 고객과 교감하며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하는 'LG AI홈'을 형상화 했다.

전시장 내부 'AI홈 솔루션 존'에서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배경으로 고객들이 실제 일상에서 실현할 수 있는 AI홈 경험을 제시한다.

요리, 휴식, 캠핑 등 일상 상황에서 'LG 씽큐 온'이 집 안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는 것은 물론, AI홈 플랫폼 'LG 씽큐 AI'로 △기존 가전에 새로운 AI 기능을 지속 업그레이드하는 '씽큐 업' △고장·이상징후 등 제품 상태를 손쉽게 관리하는 '씽큐 케어' 등 서비스 시연도 관람객 대상으로 진행한다.
 
LG전자, IFA 2025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 주제로 AI홈 경험 제시
▲ LG전자 모델이 전시관 내 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슈필라움'을 전시한 'AI홈 솔루션 존'에서 집을 넘어 모빌리티로 확장되는 'LG AI홈'을 체험하고 있다. < LG전자 >
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슈필라움'을 통해 집과 모빌리티를 넘나들며 연결되는 'LG AI홈'의 확장도 살펴볼 수 있다.

'LG 씽큐 온'을 활용하면 집 안에서 슈필라움의 광파오븐을 미리 예열하거나 슈필라움에서 홈 캠을 통해 집 안 상황을 확인하고 로봇청소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집과 차량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럽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AI 가전 신제품도 대거 선보인다.

LG전자가 올해 유럽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AI 가전은 시장과 고객에 관한 철저한 연구를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성, 디자인, 편의성이 강화됐다.

먼저 에너지 효율을 중시하는 기조를 고려해 주요 신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을 대폭 개선해 업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달성했다. 냉장고는 단열을 강화해 온도 유지에 필요한 컴프레서 가동을 줄이는 한편, AI가 사용 패턴에 맞춰 컴프레서 가동을 최적화해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도록 개선했다.

디자인과 내부 구조도 현지 가정 방문 조사와 AI 기반 고객 제품 사용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유럽 고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했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좁은 유럽 가옥 구조에서 벽이나 가구장에 밀착해 제품을 설치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도록 제로 클리어런스 힌지를 적용했고, 프렌치 도어의 높이도 유럽 사람들의 평균 키를 고려해 기존 제품 대비 80mm가량 키웠다.

세탁기와 건조기는 유럽 고객의 코스 사용 패턴이 다양하다는 점을 반영해 제어부가 LCD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라인업을 늘렸다.

청소기 신제품 라인업도 선보인다. 위생과 편의성,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까지 갖춘 로봇청소기 신제품 빌트인형 '히든 스테이션'과 프리스탠딩형 '오브제 스테이션'과 함께 무선 청소기 신제품 2종도 전시된다.

유럽 고객의 가전 사용 경험을 고려한 유럽 전용 'LG 컴포트 키트'도 만나볼 수 있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유럽향 24인치형 세탁기 및 건조기에 꼭 맞는 크기의 '이지핸들' 2종과 '이지볼' 등을 선보인다.

이 밖에 세계 최초 무선·투명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도 전시된다. LG전자는 지난해 북미에 이어 올해 유럽에서 '시그니처 올레드 T'를 출시하며 주요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 사장은 "IFA 2025는 유럽 생활가전 시장이 고효율 가전과 AI홈 솔루션으로 재편되는 기점이 될 것"이라며 "고객의 삶과 유기적인 조화를 이루는 'LG AI홈' 솔루션과 유럽 고객들에게 꼭 맞는 제품들로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시하겠다"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

최신기사

중국 정부 압박에도 엔비디아 'H20' 수요 강력, 화웨이 캠브리콘 성능 한계
미국의 TSMC 반도체 투자 규제 영향 제한적, 중국 파운드리 반사이익 어려워
석유공사 '대왕고래 프로젝트' 가라앉는 중, 임기 마친 김동섭 계속되는 험로
이재명 양대 노총위원장 만나 노사정 대화 강조, "만나 싸우더라도 결론내야"
잘 나가는 더마화장품 '이지듀', 재주는 대웅제약이 성과는 윤재승 오너일가 몫
'트럼프 시대' 황금의 질주는 끝없다, 골드뱅킹서 현물·채굴 ETF까지 투자 러시
HBM 소재 수입 삼성전자 줄고 SK하이닉스 급증, HBM3E 인증 지연에 격차 지속 전망
GS리테일 편의점·슈퍼 성적 신통치 않다, 허서홍 내실다지기 방향성 없이 '좌초 위기'
삼성전자 IFA 2025에서 'AI 홈' 선보여, 모바일부터 가전까지 AI 총집합
[현장] 자산운용사들이 성수동 빵집 덕에 웃는다? 유튜버 슈카월드의 'ETF' 마케팅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