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광고총량제가 도입된 뒤 일년 동안 지상파3사에 발생한 매출 증가규모가 예상치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광고총량제 도입과 가상광고 규제 완화가 지상파 TV 방송광고 부문에 미친 영향 분석’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
|
|
▲ 김도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 |
광고총량제는 방송광고의 전체허용량을 법으로 정하고 시간과 횟수, 방법 등에 관한 사항은 방송사 자율로 정하는 제도다. 총량제 실시로 방송프로그램 앞뒤로 붙는 광고시간이 전체 방송시간의 15%까지 늘어났다. 이전에는 10%를 초과할 수 없었다.
판매가능한 광고시간이 늘었지만 매출 증가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2015년10월부터 2016년9월까지 방송 3사에서 발생한 매출액 증가분은 109억 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TV 광고매출의 0.84%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최소 217억 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 절반에 그친 셈이다.
방송사별로 보면 KBS 매출이 42억 원, MBC 35억 원, SBS가 32억 원 늘었다.
인기 프로그램 역시 광고시간 증가로 추가 매출이 기대됐지만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프로그램 대부분에서 광고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더 많은 상황”이라며 “총량제에 따른 매출액 증가효과가 지상파3사 전체 가운데 15개 인기 프로그램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인기 프로그램에 붙는 광고 개수가 늘면 광고 시청률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는 점도 총량제의 한계로 지적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광고의 양적공급을 늘리기보다 광고주가 인식하는 방송광고의 가치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수요를 촉진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