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쓰오일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유가약세가 지속되면서 1분기 정유 부문의 실적 부진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 에쓰오일 정유 부문의 실적 부진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
이진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에쓰오일 목표주가를 기존 9만 원에서 7만3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9일 에쓰오일 주식은 5만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에쓰오일 정유 부문이 부진했다”며 “이에 따라 시장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에쓰오일은 1분기 영업이익으로 514억 원을 낼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80.29% 감소한 수치다.
정유 부문에서 1분기 영업손실 379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선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이 연구원은 “세계적 경기 침체와 석유수출국기구플러스(OPEC+)의 자발적 감산 완화 등에 유가가 하락하며 재고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며 “정제마진도 1월 12달러에서 3월 1달러 수준으로 하락하며 적자전환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화학 부문은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판매가와 제조원가 차이)가 톤당 175달러로 9% 상승했음에도 손익분기점(BEP)인 200달러 수준을 하회하며 영업손실 180억 원을 낼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실적이 개선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유가의 추가적 하락 가능성은 낮게 평가한다”며 “석유제품 시장 상황은 화학 업종과 달리 공급 부담도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반기 정제마진 상방 압력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