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재생에너지 기업들이 트럼프 정부 기조에 맞춰 기후위기 대응보다 에너지 안보를 강조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미국에 위치한 풍력발전 설비 사진.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에 사업 기반을 두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기후위기 대응 대신 에너지 안보를 강조하는 쪽으로 사업 전략을 바꿔나가고 있다.
트럼프 정부가 기후 관련 정책을 대폭 축소하고 있는 만큼 에너지 생산 확대 목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앞세우는 방향으로 노선을 변경하는 셈이다.
미국 시사전문지 세마포는 18일 “신재생에너지 업체들이 기후변화와 관련한 언급을 줄이고 있다”며 “트럼프 정부의 지원이 계속될 수 있도록 설득하려는 목적”이라고 보도했다.
세마포는 신재생에너지 업체들이 최근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생산 확대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뒤 기후대응 관련 정책과 관련 산업 지원을 꾸준히 축소하는 기조가 이어지자 전략을 바꾼 셈이다.
미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은 기후대응을 주요 목표로 앞세운 바이든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큰 수혜를 보며 가파르게 성장해 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뒤 기후변화를 ‘사기’라고 정의할 정도로 부정적 태도를 보이며 이와 관련한 정책을 대폭 줄이고 있다.
자연히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타격을 피하기 어려워진 데 따라 트럼프 정부의 핵심 공약인 미국 에너지 안보 강화에 발맞추는 쪽으로 노선을 바꾸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 내 에너지 생산량을 대폭 늘려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인공지능을 비롯한 핵심 산업 성장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재생에너지 역시 중요한 전력 공급원으로 자리잡은 만큼 관련 기업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앞세워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지기를 기대하고 있는 셈이다.
세마포는 “기후위기와 관련한 논의는 트럼프 정부 들어서 사실상 금기시되고 있다”며 “정부 지원 필요성을 설득하려면 이전과는 다른 메시지를 앞세울 수밖에 없다”고 바라봤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 진행된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 8곳의 콘퍼런스콜에서 기후변화와 관련한 언급은 아예 나오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를 건드릴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이어졌다.
다만 세마포는 해당 기업들이 기후대응 노력을 아예 언급하지 않는다면 투자자와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을 수 있다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