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트럼프2.0 재계 희비] 트럼프 약가 인하 기대감 흐리는 '관세 변수', 서정진 셀트리온 미국 생산체제 꾸리나

김민정 기자 heydayk@businesspost.co.kr 2025-02-16 06:0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편집자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전면에 내건 직후부터 거센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 보호무역, 탈세계화가 임기 초반부터 핵심 정책으로 자리잡으며 글로벌 경제와 산업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세계가 우려했던 트럼프 대통령 시대의 '충격파'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에 한국 주요 기업과 경영자들은 급변하는 세계 경제 질서에 신속히 적응하기 위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에게 미국의 강화된 무역 장벽은 가장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각 기업을 이끄는 경영자들이 어떤 전략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나아가 이를 성장 기회로 삼을 수 있을지 조명한다.

-글 싣는 순서
① 현대차그룹 정의선 트럼프 리스크는 없다, 전방위 관세 폭탄이 '기회'
② 복잡해진 거시경제 셈법, 고민 깊어지는 한은 이창용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
③ 최태원, 트럼프 시대 바뀐 규칙 속 AI로 SK그룹 생존법 찾는다
④ 트럼프발 역풍 직면한 씨에스윈드, 김성권 미국 정책 변화에 촉각 
⑤ 트럼프 러-우 전쟁 종식 압박, 정기선 HD현대그룹 건설기계 ‘단비’ 기대
⑥ 삼성전자 전영현 반도체 관세 촉각, 트럼프 자국 우선주의에 '불안불안' 
⑦ SPC그룹 허영인, 트럼프 2기 맞아 파리바게뜨 미국사업 확대 힘주나
⑧ KT 트럼프 AI 패권 강화 유탄 맞나, 김영섭 MS AI 사업 협력 '조마조마'
⑨ 트럼프 1500조 해양방산 판 깐다, 한화 김동관 미국 거점 조선소 육성 속도
⑩ 트럼프 `약가인하` 기대감 흐리는 `관세 변수`, 서정진 셀트리온 미국 생산체제 꾸리나


[비즈니스포스트]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트럼프 2기 행정부 헬스케어 정책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약가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국 바이오시밀러(생체의약품 복제약) 확대 기대감이 높아졌다.

하지만 동시에 이와 상충되는 의약품 관세 부과 의지를 밝히면서 불확실성 또한 커지고 있다.   
 
[트럼프2.0 재계 희비] 트럼프 약가 인하 기대감 흐리는 '관세 변수',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0491'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서정진</a> 셀트리온 미국 생산체제 꾸리나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트럼프 2기 행정부 헬스케어 정책 변화에 미국 현지 생산기지 설립을 앞당길 가능성이 나온다. 

이에 서 회장이 바이든 행정부 때부터 고려해 온 미국 현지 생산기지 설립 시기가 예상보다 앞당겨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1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의약품 관세 부과 방침을 밀어붙이면서 국내 기업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1기에 이어 2기에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약가인하 정책과 정면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미국의 약가가 지나치게 높다고 주장해 왔다. 미국의 약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2.5배 높은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약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의약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 이를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13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각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동일한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발표에 앞서 “자동차와 의약품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말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예외 품목을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 국내 의약품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및 세계보건기구(WTO) 의약품 협정에 따라 대부분 관세 없이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셀트리온도 지난해 말까지는 의약품 관세 부과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의지가 강력하자 미국 생산기지 건설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트럼프 1기에 이어 2기 행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약가인하 정책의 수혜만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당시에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약가 인하 기대감이 더 컸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에서 실패로 끝났던 약가 인하 정책을 2기 행정부에서 연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줄곧 “미국의 약가는 지나치게 높은 반면 다른 국가의 약가는 낮게 책정돼 미국이 대형 제약사로부터 부당하게 이익을 착취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가 약가 인하를 위해 바이오시밀러와 제네릭(복제약) 사용을 촉진하는 정책을 지지해 온 만큼 국내 대표 바이오시밀러 기업인 셀트리온도 수혜를 볼 가능성이 점쳐졌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 제약바이오 정책을 주도할 주요 인사들의 과거 약가인하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J. D. 밴스 부통령,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HHS) 장관, 마티 마카리 식품의약국(FDA) 국장, 메흐메트 오즈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서비스센터(CMS) 수장 등이 대표적이다. 

셀트리온도 당시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환경 조성이 될 거라고는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의약품 관세 우려에 대해서는 “셀트리온 생산 의약품은 WTO 합의에 따라 관세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관세 인상에 추가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대상에 의약품도 예외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올해 1월 말 대응책을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내 약가 상승을 초래해 소비자와 의료 시스템에 부담을 줄 수 있어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이를 강행할지는 불확실하다”면서도 면밀히 대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2.0 재계 희비] 트럼프 약가 인하 기대감 흐리는 '관세 변수',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0491'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서정진</a> 셀트리온 미국 생산체제 꾸리나
▲ 셀트리온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의지가 강력하자 미국 생산기지 건설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셀트리온>

셀트리온은 중기적으로는 관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원료의약품 중심으로 공급해 현지에서 협력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을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완제의약품 뿐 아니라 원료의약품까지 생산할 수 있는 미국 내 현지 생산기지 인수 또는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

서 회장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바이아메리카’ 정책에 대응해 미국 생산기지 설립을 지속적으로 고려해 왔는데 최근 상황 변화로 인해 이 계획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커졌다. 그는 2023년 기자간담회에서 “4공장의 절반은 미국, 절반은 한국에 짓는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셀트리온은 이미 완제의약품 생산 내재화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준비에 나섰다. 14일 인천 송도에 증설하는 신규 완제의약품(DP)공장의 착공허가를 받았다. 관세 부담을 고려해 미국은 위탁생산(CMO) 위주로 대응하는 등 생산 전략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그러나 의약품 관세 부과가 실질적으로 실효성이 있느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나온다. 의약품 생산·공급 구조상 미국 내 생산 확대가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선경 SK증권 연구원은 “자국 내 생산 우선은 1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확인했듯 의약품생산 및 공급시스템의 특성상 중단기 내 실효성은 낮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추구하는 약가 인하 및 미국 내 의약품 공급망 확충 목표와 상충되므로 구체적인 방향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업계의 강한 반발도 예상된다. 미국 병원과 제네릭(복제약) 제약사들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필수 의약품 가격이 급등해 소비자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네릭 의약품 로비 단체 ‘접근가능 의약품 협회(AAM)’도 저가 의약품 제조기업들이 수익성 악화를 근거로 트럼프 행정부에 의약품 관세 면제를 요청한 상태다. 

제약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와는 별개로 정책이 실제로 실행되기까지는 여러 걸림돌이 있을 것”이라며 “업계의 반발이 예상되는데다 미국은 로비 영향력이 큰 만큼 정책 추진 과정에서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최신기사

포스코홀딩스 새 사내이사 후보에 이주태·천성래 추천, "초일류 기업 도약"
최태원 경제사절단 이끌고 미국 워싱턴DC로, "반도체, 위기도 기회도 있다"
석유공사 '대왕고래' 싸움에 등 터져, 김동섭 수소 포함 신에너지사업 미래본다
서울 성동 삼표레미콘 부지에 77층 랜드마크 짓는다, 이르면 2026년 착공
시장조사업체 "올해 OLED 게임 모니터 출하 40% 늘어" 삼성·LG디스플레이 '미소'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법정 라운드' 돌입, MBK·영풍의 '주총결의 무효' 가처분 법..
건설업계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 환영, 수요 진작 유인책은 아쉬워"
안전성 문제에 짝퉁 품질 논란까지 '볼보의 추락', 중국산 S90 판매량 급감
법안 발의로 탄력 받는 '은행대리업', 고객 피해 때 배상 책임 쟁점은 여전
은행권 퇴직연금 '덩치'만 강자, '디폴트옵션 적립금' 쓸어가는데 수익률 낙제점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