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동전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범사업에 착수했다.
한은은 ‘2020년 동전없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시범사업의 첫 단계로 편의점에서 잔돈을 선불식 교통카드에 충전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조만간 입찰을 통해 시범 서비스를 시행할 편의점업체 선정 등 준비작업이 시작된다.
한은은 준비작업에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이르면 내년 초,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 서비스가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편의점마다 T머니 등 교통카드에 요금을 충전해주는 장비가 이미 마련돼 있는 만큼 관련 규정이나 프로그램을 정비하는 절차만 거치면 되기 때문이다.
한은은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성과가 좋으면 거스름돈을 신용카드로 충전해주거나 은행계좌에 직접 송금해주는 방식도 추진하기로 했다. 대상 업종도 소액결제가 많은 약국이나 마트 등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신용카드를 비롯해 삼성페이 등 전자결제 사용이 늘면서 현금사용이 이미 줄어들고 있는 만큼 시범서비스는 빠르게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동전 사용이 줄어들면 소비자들이 거스름돈을 들고다니는 불편이 줄어들뿐 아니라 매년 수백억 원에 달하는 동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김정혁 한은 전자금융팀장은 “동전없는 사회를 추진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문제와 편의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한해 동안 국내에서 동전을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은 540억 원으로 2014년(408억 원)보다 32.4% 늘어났다. 특히 10원짜리 동전을 하나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액면가를 훌쩍 웃도는 30~40원이다.
해외에선 이미 동전뿐 아니라 현금 자체를 없애기 위한 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스웨덴과 덴마크, 네덜란드 등은 현금의 사용을 일부 제한하고 있고 일본은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지문결제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벨기에는 93%의 거래가 현금없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최근 발간한 저서 ‘화폐의 종말’에서 화폐를 폐지하면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거래의 투명성이 높아져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고 탈세와 범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