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 순이익 13억3천만 달러, 2022년보다 34% 늘어

김민정 기자 heydayk@businesspost.co.kr 2024-06-26 14:08:4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 순이익이 금리상승과 부실채권매각 등의 영향으로 30% 이상 늘었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국내은행의 해외점포 경영현황 및 현지화지표 평가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 순이익은 13억3천만 달러로 2022년(9억9100만 달러)보다 34.3%(3억4천만 달러)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 순이익 13억3천만 달러, 2022년보다 34% 늘어
▲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국내은행 해외점포 지난해 순이익이 34.3% 늘었다고 26일 발표했다. 

금리상승 등에 따라 이자이익이 1억8600만 달러 늘었고 부실채권매각 등 비경상적 요인으로 비이자이익이 2억9500만 달러 증가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2022년보다 0.14% 오른 0.63%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해외점포는 41개 나라에 202개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41개 나라, 207개)보다 5개 줄었다. 

현지법인과 지점이 신설되면서 점포 2곳이 새로 만들어졌지만 기존 사무소 7곳이 폐쇄되면서 총 점포는 5개 줄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20개) 소재 해외점포가 가장 많았고 미국과 중국(각 16개), 미얀마(14개), 홍콩(11개)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점포가 137곳으로 전체 해외점포의 67.8%를 차지했다. 뒤이어 미주 29곳(14.4%), 유럽 27곳(13.4%)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국내은행 해외점포 총자산은 2101억9천만 달러로 2022년(2031억4천만 달러)보다 3.5%(70억5천만 달러) 증가했다. 

부실채권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74%로 2022년보다 0.23%포인트 악화했다. 김민정 기자

최신기사

한화투자 "F&F, 디스커버리로 인해 실적의 업사이드 리스크가 크다"
[현장] AWS 국내 공공 클라우드 본격 진출, 윤정원 "공공 클라우드 규제 완화 필요"
삼양식품 '주가 100만원' 눈앞, 미국 공장 없어 향후 '관세 덜미' 걱정은 여전
강원랜드 시간총량제 전환 포함 규제완화 기대, 다올투자 "매출 성장 가능"
안철수 "윤석열 탈당 결단해야", 홍준표 "시체 난도질은 사람이 할 짓 아냐"
4월 중 비트코인 시세 9만 달러대로 상승 전망, 미국 금리인하 가능성 커져
한국산 철강 대미 3월 수출 18.9% 감소, 트럼프 '철강 관세' 타격 현실화
재생에너지 업계 트럼프 정부에 발 맞춰, '기후대응' 대신 '에너지 안보' 강조
KAI, 강구영 사장에 대한 박선원 의원실 고발에 해명 "사실 아니거나 달라"
[한국갤럽] 정당지지도, 민주당 42% 국민의힘 34% 조국혁신당 3%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