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SK텔레콤의 분할을 뼈대로 하는 지배구조개편을 이른 시일 안에 단행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0일 “최근 SK텔레콤이 사업부문과 투자부문으로 분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며 “그러나 정부나 국회가 분할에 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에 SK그룹이 SK텔레콤의 분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
|
|
▲ 최태원 SK그룹 회장. |
최태원 회장을 비롯한 SK그룹의 주요계열사 CEO는 최근 합숙세미나를 열고 변화방향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SK이노베이션과 같은 중간지주회사를 늘리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따라 SK그룹이 SK텔레콤을 사업부문과 투자부문으로 분할해 투자회사를 중간지주회사로 삼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중간지주사를 만들어 인수합병 등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SK텔레콤이 기간통신사업자라는 특수한 위치 때문에 분할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파악했다.
김 연구원은 “정부 혹은 국회가 SK텔레콤이 분할하면 소비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며 “SK텔레콤이 사업으로 얻는 이익을 투자회사로 부적절하게 넘기면서 통신부문에서 얼마나 이익을 내는 지 불분명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통신사업의 이익을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구조가 되면 정부가 요금인하 등 정책적으로 사업에 개입할 근거가 부족해질 수 있어 SK텔레콤 분할에 반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의 주력사업인 이동통신사업과 유료방송사업 등은 모두 기간사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사업을 펼치는 데 정책의 영향을 받고 정부부처나 국회의 입김도 거세다.
이동통신3사가 국정감사에서 매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이통3사의 경영진이 증인으로 출석하는지가 주목되는 점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이 공정거래위원회의 반대로 무산됐는데 공정위는 두 회사가 합병하면 시장경쟁이 제한돼 소비자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인수합병을 허락하지 않았다.
김 연구원은 “SK그룹이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을 무산시킨 현정부에서 SK텔레콤 분할을 추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파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헌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