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자동차·부품

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 출시, 전시공간 '아틀리에 리릭' 개장

허원석 기자 stoneh@businesspost.co.kr 2024-05-30 11:26: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 출시, 전시공간 '아틀리에 리릭' 개장
▲ 캐딜락 리릭.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제너럴모터스(GM)의 고급 브랜드 캐딜락이 브랜드 첫 전기 SUV(스포츠유틸리티 차량)를 국내에 출시했다.

한국GM은 캐딜락 '리릭'을 국내에 출시하고, 이를 기념해 서울 강남에 위치한 통합 브랜드 공간 '더 하우스 오브 지엠'을 '아틀리에 리릭'으로 재단장해 오픈한다고 30일 밝혔다.
 
리릭은 GM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얼티엄'을 적용한 최초의 모델로, 캐딜락의 유산(헤리티지)과 차세대 기술·디자인 요소를 조화롭게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전면부에는 9개의 개별 LED로 구성된 수직형 헤드램프가 적용됐다.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할 때는 캐딜락 로고에서 빛이 시작돼 수직형 헤드램프를 따라 아래로 흐른 뒤 도어 핸들과 리어 램프로 이어지는 웰컴라이트 '코레오그래피 라이팅'이 펼쳐진다. 

리릭에는 102kWh(킬로와트시)의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됐다.

얼티엄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돼 1회 충전으로 465km를 주행할 수 있다. 시간당 최대 190kW 고속 충전을 통해 약 10분 충전하면 120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2개의 모터는 합산 최고출력 500마력, 최대토크 62.2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실내에는 33인치 커드브 어드밴스드 LED 디스플레이를 장착했고, 새롭게 디자인된 앞좌석 센터 암레스트, 크리스탈을 가공해 제작한 센터 콘솔, 퀼팅 패턴이 적용된 시트 등을 적용해 고급감을 더했다.
 
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 출시, 전시공간 '아틀리에 리릭' 개장
▲ 리릭 실내. <비즈니스포스트>
리릭은 국내에 스포츠 단일 트림으로 출시되며 판매 가격은 1억696만 원이다.

한국GM이 리릭 출시를 기념해 개장하는 스토리텔링 전시공간 '아틀리에 리릭'은 7개 공간으로 구성됐다.

1층 '비욘드 존'에는 리릭의 제작 과정에서 서로 다른 요소들이 조화로운 하나의 작품으로 발전하는 순간을 표현한 키네틱 아트(움직임이 주 요소가 되는 예술작품)가 전시됐다.

'헤리티지 존'에는 리릭의 스티어링 휠에 영감을 준 캐딜락의 헤리티지와 리릭의 디자인이 이어지는 점을 한 눈에 표현하는 렌티큘러(보는 각도에 따라 도안이 변하는 인쇄물) 액자를 배치했다.
 
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 출시, 전시공간 '아틀리에 리릭' 개장
▲ 아틀리에 리릭 '비욘드 존'. < 한국GM >
'테크 존'은 리릭의 배터리, 주행 성능, 인테리어 등 기술력을 상징적인 숫자를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2층은 리릭의 실제 모델을 관람할 수 있는 '리릭 언베일링 존', 리릭의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결합된 모션 감지 인터렉티브 아트를 체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존으로 구성됐다.

아틀리에 리릭은 31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운영된다. 허원석 기자

인기기사

메리츠증권 “한국 7월 체코 원전 우선협상자 선정될 가능성, 프랑스보다 유리” 이상호 기자
충무로 연기파 최민식 ‘웃고’ 송강호 ‘울고’, 설경구는 ‘돌풍’ 일으킬 수 있을까 윤인선 기자
LG엔솔, 3조 투입 규모 미국 애리조나 ESS용 배터리 공장 건설 보류 김호현 기자
삼성전자 중국 반도체 투자규제 완화로 수혜, 낸드플래시 'AI 특수' 본격화 김용원 기자
애플 아이폰16 '교체형 배터리' 적용 가능성, 유럽연합 규제 맞춰 신기술 개발 김용원 기자
르노코리아 4년 만의 신차 '그랑 콜레오스' 공개, 오로라 프로젝트 첫 결실 허원석 기자
신세계건설, 9238억 규모 인천 스타필드청라 신축공사 수주 장상유 기자
니콜라 캐나다 월마트에 수소트럭 공급 시작, 북미 B2B 시장 선점 속도 이근호 기자
삼성중공업 ‘해양플랜트가 효자’, 최성안 FLNG 잇단 수주로 '초격차' 굳힌다 김호현 기자
TSMC 파운드리 이어 반도체 패키징도 AI 수혜 커져, 공급부족 장기화 전망 김용원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