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자동차·부품

중국 전기차 배터리 주요 광물 점유율 높아져, 공급망 독점체제 강화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4-05-22 11:54:4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중국 전기차 배터리 주요 광물 점유율 높아져, 공급망 독점체제 강화
▲ 이그나시오 메헥 앨버말 칠레사업 책임자가 2023년 5월4일 아타카마 염호에서 탄산리튬(Li₂CO₃)을 어떻게 추출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주요 광물들의 점유율을 꾸준히 높이며 공급 과잉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떨어지다 보니 사업성 악화를 염려하는 서구 기업들을 중심으로 신규 프로젝트를 줄이면서 중국의 공급망 지배력이 더 강화된다는 관측도 나온다. 

21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은 시장 조사업체 패스트마켓의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의 리튬 제련공정 점유율이 2018년 63%에서 올해 70%로 높아졌다”고 보도했다. 

전기차 배터리를 구성하는 다른 광물인 코발트와 니켈도 같은 기간 중국 점유율이 높아지며 각각 75%와 58%로 나타났다. 

중국 채굴 기업들은 해외 광산을 직접 사들이기까지 하면서 배터리 광물을 확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영은행 또한 일반 대출보다 낮은 이자의 자금을 채굴 기업들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패스트마켓의 윌리암 아담스 금속 전문 분석가는 “중국 기업들은 시장 점유율을 늘리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며 “배터리 광물의 공급 과잉으로 이어질 정도”라고 분석했다.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폭락해 중국 외 기업들은 채굴 투자를 줄이거나 프로젝트를 폐쇄하는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원자재 조사업체인 달튼 커머디티에 따르면 올해 중국 외 업체들의 코발트 생산량은 지난 15년 가운데 최저 수준이다.

글렌코어와 퀸즈랜드 퍼시픽 메탈 등 주요 기업들도 니켈 공장의 가동을 멈추거나 추가 투자 계획을 보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 리튬 생산기업인 앨버말(Albemarle)조차 사업성을 우려해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주에 계획했던 리튬 제련 프로젝트를 미뤘다. 

호주 맥쿼리 은행의 짐 레논 원자재 전략 총괄은 “중국이 광물 분야에 압도적인 경쟁 우위를 보여 이를 따라잡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라고 평가했다. 이근호 기자

인기기사

신세계건설, 9238억 규모 인천 스타필드청라 신축공사 수주 장상유 기자
SK하이닉스 HBM3E 3분기 양산, 엔비디아 테스트 중 삼성전자 속도 뒤처지나 김바램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원전에서 친환경에너지까지, 박지원 전력수요 급증 아시아 겨냥 류근영 기자
애플 아이폰16 '교체형 배터리' 적용 가능성, 유럽연합 규제 맞춰 신기술 개발 김용원 기자
니콜라 캐나다 월마트에 수소트럭 공급 시작, 북미 B2B 시장 선점 속도 이근호 기자
삼성전자 중국 반도체 투자규제 완화로 수혜, 낸드플래시 'AI 특수' 본격화 김용원 기자
[한국갤럽] 윤석열 지지율 25%, 정당지지 민주당 32% 국민의힘 31% 김대철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 멕시코 공장 인근에 물류 부지 확보, 1700억 투자 김호현 기자
국제유가 상승, 중동 레바논·홍해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감 고조된 영향 손영호 기자
현대건설 건설로봇 원격제어·무인시공 기술 시연, "맞춤형 기술 구현 최선" 배윤주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