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두산 3년 만에 작년 영업이익 1조 넘어서,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호조

장상유 기자 jsyblack@businesspost.co.kr 2023-02-09 17:15:3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두산이 2019년 이후 3년 만에 영업이익 1조 원을 넘어섰다.

두산은 2022년 연결기준 매출 17조538억 원, 영업이익 1조1283억 원을 거뒀다고 9일 밝혔다.
 
두산 3년 만에 작년 영업이익 1조 넘어서,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호조
▲ 두산이 2019년 이후 3년 만에 영업이익 1조 원을 넘겼다.

2021년보다 매출은 32.0%, 영업이익은 22.5% 증가한 것이다.

두산이 영업이익 1조 원을 넘어선 것은 채권단 관리체제에 돌입하기 전인 2019년(1조2286억 원) 이후 3년 만이다.

지난해 두산 실적은 자회사 두산에너빌리티 등 주력 계열사들이 견인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5조4433억 원, 영업이익 1조1073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매출은 40.5%, 영업이익은 27.4% 늘어났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형 설계·조달·시공(EPC) 프로젝트 관련 매출이 늘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자체사업에서 글로벌 원자재 가격 인상에 영향을 받았지만 자회사 두산밥캣이 좋은 실적을 올렸다.

전날 실적을 발표한 두산밥캣은 연결기준 매출 8조6219억 원, 영업이익 1조716억 원을 기록했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48.2%, 영업이익은 80.0% 증가했다.

두산은 자체사업에서도 외형성장을 이뤘다.

두산 전자BG(비즈니스그룹)은 지난해 매출 9504억 원을 거뒀다. 전년보다 3.8% 늘어난 것이다. 다만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신사업 초기 관련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소폭 하락했다고 두산은 설명했다.

두산의 신사업 자회사 3곳(두산로보틱스·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은 지난해 매출 합계 1211억 원을 냈다. 2021년과 비교해 17.2% 증가했다.

두산은 올해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3·4호기 등 대형원전 및 소형모듈원전 수주 확대로 중장기 수익성 개선 기반을 마련하고 두산밥캣도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두산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2천 원, 우선주 가운데 '두산우' 1주당 2050원, '두산2우B' 1주당 2천 원을 현금배당하기로 결의했다.

시가배당율은 보통주 2.4%, 우선주 4.1%로 배당금 총액은 357억7234만1천 원이다. 배당금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주주총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된다. 장상유 기자

최신기사

[채널Who] '형들이 차지하고 남은 회사 받은'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로 어떻게 주식..
[씨저널] '주식부호 1위' 조정호가 쌓은 부의 비밀, 메리츠금융지주 주주친화와 오너 ..
[씨저널] '원메리츠' 이끄는 최희문 김용범과 일선 경영진들, 조정호의 인재 선구안과 ..
[씨저널] 메리츠금융지주 소유와 경영 분리 진행 중, 한진가 막내 조정호 왜 경영 승계..
산업은행, 소형모듈원전 포함 원자력산업 지원 1천억 펀드 운용사 모집
한국 부동산 빚 매년 100조씩 늘었다, 한은·금융위 "정책 방향성 재정비 필요"
NH농협은행 205억 규모 과다대출 사고 발생, 다세대 주택 감정가 부풀려
대한상의 최태원 "한국 AI와 제조업 중국에 뒤처져, 경쟁력 끌어올릴 힘 필요"
신세계면세점 '면세업계 구조조정'은 기회, 유신열 명품 브랜드 유치에 집중
홈플러스 유동화전단채 피해자 "10일까지 해결책 안 내놓으면 MBK 고소"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