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나라 가계 가운데 17.2%가 '적자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가구는 소득의 거의 전부를 부채 상환에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
8일 노형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가계 재무 상태가 적자인 가구의 특징과 개선 방향' 보고서에서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적자가구 수는 전체 2052만 가구의 17.2%인 354만 가구가 적자가구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적자가구란 금융채무의 이행 및 필수적인 소비활동의 결과로 적자상태가 된 가구를 일컫는다.
354만 적자가구의 평균 연간 경상소득은 4600만 원, 원리금상환액은 4500만 원이었다.
원리금 상환액이 경상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98%로 벌어들이는 돈 대부분을 빚을 갚는데 쓴다는 의미다.
이밖에 연간 필수 소비지출은 2400만 원, 이자 외 비소비지출은 9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이 높은 가구는 52만 가구로 적자가구의 61.5%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부채는 4억 원으로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1억1천만 원 대비 4배가량 높았다.
노 연구원은 "소득이 대출에 미치지 못해 빚이 쌓인다면 적자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적자가구의 재무적 취약성이 다른 가계로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은 LTI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노 연구원은 적자가구 가운데 임대보증금이 있는 66만 가구(18.6%)는 세입자로부터 받은 전·월세 보증금으로 적자를 메우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이들이 전세금 하락 등으로 충격을 받을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