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지주사 서울 설립을 반대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입을 모아 외치고 있다.
포스코 지주사의 위치를 둘러싼 논란은 대선후보들까지 가세하면서 정치적 문제로 번지고 있다.
민간 기업의 지주사 위치 문제가 '국가적'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이례적이다.
특히 포스코 지주사의 서울 설립은 주주총회에서 이미 결정된 사안으로 대선후보들이 ‘감 놔라 배 놔라’하는 것은 시장경제주의 원칙에 어긋난다.
앞서 1월2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지주사 체제 전환 안건과 관련해 의결권이 있는 주식 수 기준으로 75.6%의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해 출석주주 89.2%가 찬성했다.
포스코는 외국인 지분율이 53%에 달하고 최대 주주는 9.7%의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이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지주회사 전환에 찬성했다.
'국민기업'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은 정치적 논리가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올해 창립54돌을 맞는 포스코는 철강 사업 만으로는 '백년 기업'을 기약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이차전지소재, 첨단소재, 신새쟁에너지 등 미래형 신사업을 키우고 있다.
포스코는 이들 신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기 위한 지배구조가 지주사이며 주주사를 서울에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고 주주들을 설득했다.
물론 포항시민 입장에서는 포스코 지주사의 본사가 서울에 설립되는 것과 관련해 배신감을 느낄 수 있다.
주민들로서는 포스코의 뿌리는 포항제철소인데 지주사와 연구개발(R&D) 센터를 서울에 두면서 '알짜'를 서울로 가져가겠다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
그런 이유로 18일 현재 포스코 지주사 서울 설립 반대 서명에 참여한 포항 시민 수가 26만 명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시 인구가 51만 명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인구의 절반 이상이 포스코 지주사를 서울에 설치하는 것을 반대한 것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우려는 조금 과도한 측면이 있다. 특히 연구개발센터의 서울 이전 문제는 포스코가 추진하는 미래 신사업 관련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불가피해 보인다. 우수인력이 수도권 이남에서 근무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은 안타깝지만 현실이다.
대선후보들이 포스코의 이같은 상황을 몰랐을 리가 없다. 포스코 지주사의 서울 이전을 반대하고 나선 것은 대선을 앞두고 들끓는 포항 민심을 외면할 수 없어서였을 것이다.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말을 뒤집거나 포항민심을 달래기 위해 다른 대안을 내놓아야할 가능성이 크다. 대선 후보들의 지주사 서울이전 반대 발언이 마뜩치 않은 이유다.
포항시민을 설득하기 위한 포스코의 노력에 아쉬운 구석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대선후보들의 반대는 너무 나갔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