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권 에디슨모터스 대표이사 회장이 에디슨모터스의 전기차기술을 바탕으로 쌍용자동차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금확보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까?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 쌍용차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회사를 정상화까지는 1조 원이 훨씬 넘는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 강영권 에디슨모터스 대표이사 회장.
그런 만큼 시장에서는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회생자금 조달과 관련해 여전히 우려하는 시선이 많다.
21일 쌍용차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쌍용차의 회생을 위해서는 바로 수천억 원의 돈이 더 들어가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 쌍용차 매각 본입찰에서 제시한 금액은 구주 지분 인수에 들어가므로 쌍용차 회생을 위해서는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추가로 들어갈 자금은 우선 부채상환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는 금융권과 상거래 채권 등으로 구성된 회생채권과 직원들 급여 등 우선 변제해야 하는 채권인 공익채권을 갚아야 한다.
회생채권은 법원이 진행하는 기업회생절차에 따라 채무조정 과정을 거쳐 일부 줄어들 수 있지만 공익채권은 반드시 전체 금액을 변제해야 한다. 쌍용차 공익채권 규모는 4천억 원가량으로 알려졌다.
강 회장은 구주 인수대금 및 운영자금으로 컨소시엄에 참여한 키스톤PE와 KCGI 등 재무적투자자(FI)들로부터 8천억 원가량을 조달할 계획을 세웠으며 이외에도 계열사 등을 통해 추가 자금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에디슨모터스의 최대주주인 에너지솔루션즈는 현재 코스닥 상장사 쎄미시스코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를 발행해 1천억 원 규모의 자금조달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쌍용차 평택공장의 땅과 공장 등을 담보로 주채권은행 KDB산업은행 등으로부터 추가 대출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자동차업계에서는 여전히 에디슨모터스의 자금조달 능력에 우려를 보이는 시선이 많다.
일반적으로 신차 1대를 출시하기 까지 수천억 원가량의 투자가 뒷받침돼야 하고 투자를 제대로 회수하지 못하는 상황도 종종 벌어지는데 에디슨모터스가 신차 출시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 능력이 과연 되느냐는 것이다.
특히 강 회장은 2022년에 세단과 SUV(스포츠유틸리티 차량) 등을 포함해 전기차 10종을 출시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와 관련한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들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강 회장은 기존에 쌍용차에서 단종된 무쏘나 체어맨 등 기존 플랫폼에 전기배터리와 모터를 넣어 개발비용을 낮추고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려뒀다.
이 계획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결국 에디슨모터스가 쌓아둔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질 좋은 전기차를 선보이는 지가 중요하다.
이런 점을 놓고 강 회장은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강 회장은 21일 보도자료에서 “쌍용차의 내연기관차 몸체에 우리가 개발해 놓은 스마트플랫폼을 붙여서 전기자동차로도 팔고 하이브리드차량까지도 팔게 되면 쌍용차를 회생시킬 수 있다”며 “회생이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으로 경쟁하는 그런 회사가 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해 인수했다”고 말했다.
에디슨모터스에서 자체개발한 전기차 관련 기술을 곧바로 쌍용차에 투입해 기존 단종된 차량 프레임을 활용해 고정비를 낮추는 등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강 회장은 “에디슨모터스가 개발한 배터리시스템과 전기모터기술 등을 활용하면 1회 충전했을 때 주행거리가 450~600km 되는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다”며 “단종된 체어맨에 에디슨모터스가 개발한 전기자동차 샤시플랫폼을 장착하면 800km 주행하는 전기승용차를 2년 이내에 출시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강 회장으로서는 이런 계획을 정교하게 다듬어 KDB산업은행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은 그동안 이른바 '구조조정 3대 원칙'을 통해 대주주의 책임있는 자세와 이해관계자들의 고통분담, 지속가능성 등을 꼽았다.
이런 원칙에 따라 이 회장은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의 쌍용차 인수 뒤 지속가능한 정상화방안을 눈여겨보고 있는데 회생 가능성과 전기차사업의 사업성 등을 검토해 추가 자금수혈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회장은 앞서 15일 열린 국정감사에서도 “쌍용차는 앞으로 회생 및 사업 가능성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며 “공익채권의 상당 부분이 (탕감되지 않는) 미불임금채권이라 새 투자자 입장에선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데 우선협상자가 결정되면 이해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