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식’을 열었다.
지정식에는 성윤모 산자부 장관과 이재명 경기도지사, 김경수 경남도지사, 송하진 전북도지사, 양승조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등 광역지자체장과 함께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등이 다수 기업인이 함께 참석했다.
산자부는 전략적 육성이 시급한 6대 주력산업(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초화학, 전기전자, 기계금속, 자동차)에 집중하며 국가 산업전략과 밀접하게 연계해 특화단지를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특화단지 지정에 따라 △경기도는 2329억 원을 투자해 용인을 중심으로 반도체 클러스터를 △경남은 3164억 원을 투자해 창원에 정밀기계 국가산업단지를 △전북은 609억 원을 투입해 전주에 탄소국가산업단지를 △충남은 609억 원을 투자해 아산에 디스플레이 스마트밸리를 △충북은 90억 원을 투자해 오창에 2차전지 과학산업단지를 각각 조성한다.
정부는 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체계적 상생 프로그램을 펼쳐나갈 계획을 세웠다. 이 프로그램에는 앵커(입주 선도 기업) 대기업의 상생펀드 조성, 테스트베드 제공, 기술이전 등을 통한 협력기업 지원 방안이 포함됐다. 기술·정보·인력 육성을 통해 기업 사이 연대와 협력도 강화한다.
성 장관은 이날 지정식에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후변화, 디지털 전환 등 산업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성장동력 제고 및 미래 혁신산업 선도의 핵심은 소재부품장비 가치사슬 확보"라며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가 이를 실현할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가 글로벌 1등 클러스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소재부품장비기업의 경쟁력 및 파트너십 강화 △대·중소기업 연대와 협력 생태계 조성 △해외진출과 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 총동원 △규제 개선 등을 약속하기도 했다.
산자부는 이번 특화단지 조성을 계기로 소재부품장비산업 생태계 안에서 협력 및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에 관한 기업계의 인식이 높아지고 연대와 협력의 기운이 본격적으로 확산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2020년 내놓은 ‘소재·부품·장비산업 정책 분석’ 보고서를 보면 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은 영세성과 양극화 현상이 굳어진 독과점시장구조라는 약점을 안고 있다.
재원 배분이 기술 개발에만 편중됨에 따라 기반구축 투자와 기술개발을 생산으로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우수 연구인력 유입과 고용유지가 어려워 산업 발전도 가로막히고 있다고 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테스트베드를 조성해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대·중소기업 상생환경을 만들며 중소기업의 성과 개선, 인력양성 강화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산자부는 실제 이번에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를 지정하면서 그 안에 약 240개의 테스트베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앵커기업과 중소·중견기업 사이 연계를 강화하고 각 지역 단지의 협의회를 구성해 특성에 맞춘 정부 지원방안도 마련할 계획을 세웠다.
산자부는 산업별 협력모델 구축에도 함께 나선다. 미래차와 바이오·의료, 시스템반도체산업이 우선 대상이다.
정부는 이런 산업의 협력모델의 구축을 위해 2021년부터 4년 동안 약 60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R&D)과 설비투자를 위한 80억 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인력·인프라, 규제특례 등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묶음지원방안도 마련한다.
산자부는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에서 제안한 2차전지부문의 상생모델까지 더해 2025년까지 약 1500명의 고용과 1조 원 이상의 신규투자가 발생하길 기대하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각 지역에 구성된 클러스터에서도 지역별 상생방안을 발굴해 계속 지원을 늘리겠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