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한수원에 따르면 최근 이사회를 통해 ‘소규모 태양광 가상발전사업 출자안’을 의결하고 사업을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소규모 태양광 가상발전사업은 경기, 강원, 경남, 제주 등 전국 17곳에 소규모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하고 이 설비를 가상발전소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다.
가상발전소는 여러 곳에 분산된 소규모 발전설비를 클라우드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수원은 지난해 1월 소규모전력중개회사 솔라커넥트와 공동개발협약을 맺으며 이번 사업을 위한 가상발전소 기술 확보에 나서기도 했다.
한수원은 특수목적법인을 세운 뒤 태양광발전설비의 건설과 운영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소규모 태양광발전설비용량은 모두 14.7MW이며 사업비는 290억 원이 투자된다”며 “한수원은 특수목적법인에 14억 원을 출자한다”고 말했다.
소규모 태양광발전사업은 한수원이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목표치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2030년까지 20조 원을 투자해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8.4GW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확보된 745MW의 10배가 넘는 규모다.
이를 위해 한수원은 현재 300MW급 새만금 수상 태양광발전사업, 200MW급 신안 비금도 태양광발전사업 등과 같은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규모 발전사업은 입지 선정과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 수용성 등 문제가 생기면 사업 진행이 더뎌질 수 있고 송전탑 건설 등 막대한 관련 비용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발전설비를 전력 공급지 근처에 설치하고 이를 가상발전소를 통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면 대규모 발전설비 못지않게 발전 효율을 높이며 필요한 발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정 사장은 소규모 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하면서 정부의 분산형에너지 확대정책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존 중앙집중식 전력 생산과 공급방식이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고 재난위험에 취약하다고 보고 국가에너지시스템을 전환하기 위해 분산형에너지를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분산형에너지의 활성화방안을 담은 로드맵을 조만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수원의 소규모 태양광발전사업도 이러한 정부의 분산형에너지 확대 정책에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정 사장은 신년사에서 “앞으로 펼쳐질 시대는 친환경, 저탄소, 분산형 전원을 바탕으로 하는 에너지 공존의 시대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에너지 상황에 부응하면서 노와 사가 힘을 모아 변화의 물결에 당당하게 올라타 세계적 에너지시장의 주인공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