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하려면 선제적 기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업부문 취약성: 진단과 과제’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에서 “앞으로 코로나19 상황이 일단락되면서 금융지원이 끝날 때 잠재부실이 한 번에 현재화하는 절벽효과에 대비해야 한다”며 “선제적 기업 구조조정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내외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된 현재 시점이야말로 기업 구조조정 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2017년에서 2020년 1분기 동안 한국의 기업부채 증가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3위에 이르는 등 한국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을 두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기업의 영업실적이 크게 나빠지면서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비중이 2019년 14.8%로 사상 최고치를 보이기도 했다.
윤 원장은 “기업 구조조정은 때로는 많은 고통을 수반할 수 있다”면서도 “‘질서있는 퇴장’을 통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면 우리 경제의 지속적 성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기업, 자본시장, 채권은행이 변해야 선제적 기업 구구조정을 성공할 수 있다고 봤다.
윤 원장은 “끝까지 버티면 살아남았던 과거 고성장시대의 낡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기업 스스로가 재무·사업 위험을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하면 외부 컨설팅을 통해 사업구조 재편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본시장이 기업 구조조정에서 적극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윤 원장은 “채권은행 중심의 재무구조조정은 한계에 다다랐다”며 “자본시장은 기업경영에 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문의’ 역할에 집중함으로써 사업 구조조정 역량을 강화해 기업가치 제고를 통한 구조조정 성공사례를 계속 축적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채권은행은 단기 성과에만 집착하지 말고 기업 선별기능을 강화해 선제적 구조조정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기업부문 위험이 금융부문에 전이되지 않도록 신용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