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용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이 고가도로와 공영차고지 등의 도심 유휴부지에 공공임대주택을 짓는 ‘컴팩트시티’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성비용이 비교적 낮은 데다 사업후보지인 유휴부지 수도 많은 점을 고려하면 정부에서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에도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서울주택도시공사에 따르면 신내4 북부간선도로 입체화사업, 강일·장지·방화차고지, 서남 물재생센터, 연희·증산 공공주택 복합개발 등 6곳에서 컴팩트시티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컴팩트시티는 도로 위의 주택용 인공대지와 공영차고지를 비롯해 물재생센터, 빗물펌프장 등의 공공 유휴부지를 활용해 청년과 신혼부부 등을 중심으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사업별 착공 예정을 살펴보면 2020년 말 연희·증산 공공주택 복합개발, 2021년 신내4 북부간선도로와 장지·강일차고지, 2022년 방화차고지와 서남 물재생센터 등이다.
김 사장은 현재 추진 중인 컴팩트시티사업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을 전체 6589세대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잡았다. 이번에 성과를 내면 컴팩트시티사업을 확대할 방침도 세웠다.
서울주택도시공사 관계자는 “공영차고지를 활용한 컴팩트시티를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향후 상황에 따라 서울 전역의 차고지 등으로 사업을 넓힐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 사장도 2019년 11월 한 세미나에서 “앞으로 서울시 도시공간을 이끌어나갈 주요 원동력으로 컴팩트시티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컴팩트시티의 성공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공공임대주택 보급에 들어가는 비용이 비교적 적은 데다 교통 등의 입지조건도 양호하다는 것이다.
컴팩트시티는 주택을 지을 토지 대부분이 국가나 서울시,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보유한 부지이기 때문에 토지를 사들이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김 사장도 6월 한 매체 인터뷰에서 “컴팩트시티는 사업성이 괜찮다”며 “이미 사용 중인 토지 위에 기존 기능을 유지한 채로 주택을 공급하는 만큼 땅값이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공영차고지를 활용한 컴팩트시티는 기존 버스 운행의 시작·종점 지역에 있는 만큼 대중교통 이용이 편하다. 연희·증산 공공부지 복합개발은 역세권 지역에서 진행된다.
서울주택도시공사가 향후 컴팩트시티사업을 확대한다면 공공임대주택을 충분히 공급할 부지 여유도 있다.
서울의 공영차고지는 컴팩트시티 조성이 예정된 3곳을 포함해 전체 31곳에 이른다. 향후 인공대지 조성 후보지가 될 수 있는 서울시내의 전체 도로 면적도 7927만㎡ 이상이다.
컴팩트시티 조성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와도 닿아 있다. 공영차고지와 물재생센터 활용 등은 정부의 ‘수도권 30만 호 공급계획’에도 포함됐다.
다만 컴팩트시티 주민이 도로나 공영차고지, 빗물펌프장 등 인근 공공시설에서 나오는 소음이나 먼지 등에 시달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컴팩트시티 입주가 시작되면 인구 증가에 따른 교통 혼잡이나 고층건물 건설에 따른 인근 주택의 일조권 침해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장지공영차고지 근처의 한 아파트단지 주민들이 3월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에 일조권과 조망권 침해 등을 이유로 주택 위치를 바꿔달라는 민원을 넣은 전례도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컴팩트시티는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늘어난다는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고 현재 정부의 정책방향과도 흐름이 맞는다”면서도 “기본적으로 도심 고밀도 개발인 만큼 교통이나 일조권 문제 등도 폭넓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주택도시공사 관계자는 “소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공법을 적용하겠다”며 “컴팩트시티를 통해 주민들을 위한 생활 사회간접자본도 충분히 공급하면서 민관협의체를 통해 주민들과 의견을 나누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