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영국 BBC가 8일 한국 내 메르스 상황을 보도하고 있다.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여파가 국가신인도를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2위의 메르스 확산국이란 오명을 뒤집어 쓰면서 중국 등 주변국은 물론이고 세계 각국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메르스 때문에 ‘혐한’ 혹은 ‘반한’ 기류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세계보건기구(WHO) 합동조사단은 9일부터 13일까지 메르스 확산과 관련해 우리 정부와 공동조사에 들어간다.
합동조사단은 과거 중동에서 메르스 발병을 다뤘던 감염병 전문가들과 한국 메르스 사태에 관심을 보이는 중국과 홍콩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합동조사단은 메르스 확산상황을 진단하고 감염경로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벌인다.
한국의 메르스 사태가 국제사회 이슈로 번지고 있다. 메르스 확산소식이 세계에 알려지면 내수에 이어 수출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 또 국가 이미지가 추락하면 한국인 여행객이나 유학생, 교민 등도 유무형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아랍에미리트(UAE) 정부는 8일 한국의 경기도를 '여행주의' 지역으로 지정했다. 아랍에미리트 외교부는 한국의 메르스 감염환자와 사망자 통계를 전하며 자국민에게 한국여행 자제를 권고했다.
아랍에미리트에서 지난달 29일까지 모두 76명이 메르스에 감염됐으며 이 가운데 10명이 사망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2번째로 메르스 감염자가 많은 국가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메르스 감염자가 87명으로 늘어나면서 아랍에미리트와 순위가 바뀌게 됐다.
세계에서 메르스 감염자가 가장 많은 5개국 가운데 중동에 속하지 않은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동물원을 제외하고 낙타가 한 마리도 없는 한국이 손꼽히는 메르스 감염국 오명을 얻게 된 것은 우리나라의 방역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외신들도 한국의 메르스 확산실태를 전하며 한국정부의 미숙한 대응을 집중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4일 “한국에 공포감이 번지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는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대중에 공개하지 않아 국민을 위험에 처하게 했고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도 “백신과 치료법이 없는 이 병에 대한 당국의 대응이 너무 느리다”며 우리 정부의 부실한 초기대응을 꼬집었다.
일본 교도통신 역시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는 한국과 정보공유 약정이 있는데도 어떤 병원인지 알려주지 않는다”며 병원공개를 하지 않아 화를 키웠다고 비판했다.
|
|
|
▲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8일 메르스 확산 과 대책에 대한 긴급현안질문을 위한 국회 본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
국제사회에서 한국 또는 한국인에 대한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방문 취소규모는 2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홍콩당국은 한국인에 대한 공항 입국심사에서 강경한 대응을 취하기 시작했다. 한국발 항공기를 공항 내 지정구역에서만 착륙을 허용하고 한국인 입국자에 대한 입국심사도 강화하고 있다.
대만은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 단계를 높였다. 일본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국제규모 행사에 대한 대응책을 조만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우리 정부의 인식수준은 국제적 여론과 한참 뒤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여야 의원들은 8일 문형표 보건복지부장관을 불러 긴급현안질의에서 메르스 경계경보를 상향할 것을 요구했다.
문 장관은 국가의 대외신인도 하락을 우려해 여야 의원들의 요구를 거부했다.
이목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미 대한민국이 엉망이라는 게 국제사회에 다 알려져 있다”며 문 장관을 질타했다.
외교부는 8일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주한외교단을 초청해 메르스 확산 상황과 정부의 대응을 설명하기로 했다. 정부가 각국 사절단을 상대로 감염병 관련 공식 설명회는 여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