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의 과점주주체제가 정부의 잔여지분 매각 결정에도 계속 유지될까?
정부의 매각계획과 기존 과점주주체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점을 살피면 새 과점주주가 등장하더라도 변화의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을 매각하기로 하면서 우리금융지주의 주주가 최대 서너 곳 더 늘어날 수 있다.
정부는 기존 과점주주의 경영권을 어느 정도 보장해줄 수 있는 방식으로 매각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과점주주 사이에 별도의 경영권 보장계약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는 ‘자율경영’을 보장하며 2016년 과점주주에게 지분을 매각했다.
정부가 남은 지분 18.32%를 한두 곳에 몰아서 매각하면 과점주주보다 영향력이 큰 대주주를 만들게 돼 자율경영을 침해했다는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
정부는 최대 10% 범위 안에서 과점주주에게 지분을 매각할 당시 활용한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을 다시 쓰기로 했다. 과점주주의 자율경영을 침해하지 않겠다는 고민의 결과로 풀이된다.
IMM프라이빗에쿼티,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동양생명, 한화생명, 미래에셋자산운용, 유진자산운용 등 7개의 과점주주가 당시 3.7~6%의 지분을 나눠 매입한 점을 감안하면 정부가 새 주주의 지분율을 5%대에서 조정할 것이라고 업계는 보고 있다.
입찰이 진행되면 기존 과점주주와 우리금융지주 직원으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도 지분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과점주주는 2016년에서 2018년까지 우리금융지주가 우리은행이던 시절에 거둔 실적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과점주주체제로 운영되며 실적이 꾸준히 늘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뒀고 올해 이 실적을 새로 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과점주주로서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지분을 늘리지 않을 이유가 없는 셈이다.
정부, 국민연금(8.4%)에 이어 우리금융지주의 3대주주인 우리사주조합(6.4%)은 이미 지분율을 높일 의지를 보였다.
박필준 우리은행 노조위원장은 “정부가 지분 매각에 나서면 우리사주가 지분 매입을 통해 최대주주로 올라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과점주주와 우리사주조합이 적극적으로 지분 확대에 나선다면 우리금융지주의 새 주주는 한두 곳 더 늘어나는 데 그칠 가능성이 높다.
우리금융지주의 지배구조가 국민연금, 우리사주조합, 기존 과점주주에 새 주주 한두 곳으로 재편되면 과점주주체제 자체는 크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는 우리금융지주 내부에서도 바라는 결과라는 점에서 긍정적 요소가 부정적 요소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은 1월 지주사 출범기자간담회에서 “과점주주체제는 견제와 균형이 잘 어우러진 훌륭한 제도”라며 “과점주주와 이사회가 앞으로도 잘 결정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여러 요소들을 살폈을 때 내년 정부의 잔여지분 매각이 과거처럼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정부는 2001년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보유하게 된 뒤로 2016년 과점주주에게 지분을 넘기기까지 4번의 매각 실패를 겪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금융지주의 최근 실적 등을 감안하면 정부가 잔여지분 매각에 어려움을 겪지는 않을 것”이라며 “기존 주주들의 참여로 주주 구성에 큰 변화가 없을 수도 있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